[경제] 이러다 집 못살라…서울 아파트 경매 낙찰가율 100% 넘어
-
3회 연결
본문
10·15 부동산 대책 후폭풍
지난달 30일 서울 양천구 신정동 서울남부지방법원 경매 법정. 지난 9월 한차례 유찰된 구로구 한신1차 아파트(전용 44.8㎡)의 입찰이 시작되자 30대 6명이 나섰다. 입찰 최저가 3억5840만원(감정가 4억4800만원)에 시작한 이 아파트는 이날 4억2811만원에 낙찰됐다. 경매에 참여한 30대 김모씨는 “집값이 너무 올랐다. 최대한 낮은 가격에 집을 장만하기 위해 처음 경매 법정에 왔다”고 말했다.
이에 앞서 지난달 22일 영등포구 신길우성 75㎡ 아파트는 감정가(8억5500만원)보다 13% 비싼 9억6299만원에 낙찰됐다. 지난 3월 유찰돼 입찰 최저가가 6억8400만원까지 내려갔지만, 이날에는 26명이나 입찰에 참여했다. 강서구 내발산동 마곡수명산파크7단지 85㎡, 서대문구 홍은동 홍은벽산 85㎡ 등 그간 유찰됐던 아파트도 주인을 찾았다.
이주현 지지옥션 연구위원은 “그간 서울 부동산 경매 시장은 투자 수요 중심의 시장이었다”면서 “하지만 최근에는 투자보단 실거주를 하려는 사람들이 경매에 가세하는 분위기”라고 설명했다.
10·15 대책 이후 부동산 경매시장이 들썩이고 있다. 2일 지지옥션에 따르면, 지난달 서울 경매 아파트의 평균 낙찰가율(감정가 대비 낙찰가 비율)은 102.3%로, 2022년 6월(110.0%) 이후 3년 4개월 만에 처음으로 100%를 넘겼다. 낙찰가율이 높다는 건 그만큼 경매 경쟁이 치열했다는 의미다.
이는 우선 최근 일반 매매 시장의 실거래가가 크게 뛰면서 경매 감정가가 현재 시세보다 낮은 곳이 많아졌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여기에 토지거래허가구역이라도 경매로 아파트를 매입하면 실거주 의무가 적용되지 않는 점도 영향을 미쳤다. 전세 낀 갭투자가 가능한 탓에 투자 수요가 늘었다는 해석이 나온다.
지난달 27일 동부지법에선 광진구 광장동 청구아파트 59㎡, 광진구 자양동 현대6차 60㎡, 성동구 금호동 금호한신휴플러스 59㎡ 등이 130%가 넘는 낙찰가율에 매각됐다. 지난달 30일엔 강남구 도곡동 삼성래미안 84㎡가 감정가보다 5억원가량 비싼 30억2500만원에 낙찰됐다. 이주현 위원은 “경매 물건은 실거주 의무를 피할 수 있다보니, 서울 아파트에 갭투자를 하려는 지방 현금 부자들의 관심이 이어지고 있다”고 말했다.
이번에 함께 규제로 묶인 경기지역 12곳(과천·광명·성남시 분당 등)도 지난달 평균 낙찰가율(97.9%)이 9월(94.4%)보다 높아졌다. 경기도 전체 평균 낙찰가율(87.3%)에 비해선 10%포인트 이상 높았다. 재건축 호재가 있는 성남시 분당구는 지난달 아파트 낙찰가율이 105.6%로 가장 높았고, 하남시 102.9%, 안양시 동안구 102.3%를 기록했다.
다만 점차 경매 시장도 진정세를 보일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지지옥션은 “앞으로 매매가가 하락하면 경매에도 영향을 줄 수 있는 만큼 무리한 고가 낙찰은 주의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한편 5대 시중은행 전세자금대출 잔액은 지난달 30일 기준 123조1530억원으로 전월 말과 비교해 5385억원 급감했다. 지난해 4월(-6257억원) 이후 1년 6개월 만에 가장 많은 금액이 줄었다. 정부 규제에 신규 전세 공급이 줄어든 여파로 풀이된다. 같은 기간 주택담보대출(주담대) 증가 폭(1조2683억원)도 지난해 10월(1조923억원) 이후 1년 만에 가장 작은 액수를 기록했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