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최태원 "AI, 공급이 수요 못 따라가…SK 캐파·기술력으로 병목 해소"
-
2회 연결
본문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3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 오디토리움에서 열린 'SK AI 서밋 2025' 키노트 세션에서 'AI Now & Next'를 주제로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 공동취재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조차도 우리에게 더 이상 (메모리) 개발 속도 얘기는 하지 않습니다. (SK가) 충분히 준비돼 있다는 이야기입니다.”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3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2025 SK 인공지능(AI) 서밋’ 키노트 기조연설에서 이렇게 자신 있게 말했다. 폭발하는 AI 수요를 공급이 따라가지 못하면서 생기는 병목 현상을 SK의 캐파(CAPA·생산능력)와 기술력으로 돌파하겠다는 의지다. SK AI 서밋은 반도체·에너지솔루션·AI데이터센터(AI DC)·에이전트 서비스 등 SK그룹의 AI 경쟁력을 선보이는 자리다.
이날 남색 셔츠에 청바지의 격식 없는 옷차림으로 연단에 오른 최 회장은 “에너지, 석유와 달리 AI는 안정된 수요 예측 모델이 존재하지 않지만, AI 수요가 폭증할 것이란 근거는 많다”며 ▶추론(inference)의 본격화 ▶기업간거래(B2B)의 AI 도입 ▶에이전트의 등장 ▶국가 간 소버린 AI(주권형 AI) 경쟁 등을 꼽았다. 기업들도 AI를 활용하지 않으면 도태될 것이란 위기감이 커지고 있고, 미국과 중국을 시작으로 소버린 AI 경쟁이 가열되면서 AI 투자 주체가 기업 단위가 아닌 국가 단위로 커졌다는 분석이다.
문제는 공급이 수요를 따라가지 못한다는 점이다. 최 회장은 “상당한 수요와 공급 미스매치(불일치)가 일어나면서 병목현상이 나타날 것”라며 “공급자 입장에서도 정확한 수요 예측이 안 되다 보니 대응이 어렵다”고 말했다. 일례로 오픈AI는 SK하이닉스에 초대형 AI 인프라 구축 프로젝트 ‘스타게이트’에 필요한 고대역폭메모리(HBM)를 월 90만장씩 공급해달라고 요청했는데, 이는 전 세계 HBM 월 생산량의 2배에 달하는 규모다. 최 회장은 “돈을 많이 번다는 차원을 넘어서 책임지고 공급해야 하는 것이 고객을 위한 길인 만큼 고민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에 최 회장은 ‘캐파 확대’와 ‘기술 개선’을 통해 병목현상을 해결하겠다고 강조했다. 구체적으로 내년부터 생산에 들어가는 청주캠퍼스 M15X팹(반도체 제조시설)과 2027년부터 본격 가동을 시작하는 용인반도체클러스터를 통해 메모리 수요에 대응하겠다는 계획이다. 특히 증산뿐만 아니라 고용량이면서 가격 경쟁력을 갖춘 낸드플래시 메모리 제품 개발도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된다. 최 회장은 “이젠 스케일(규모) 경쟁이 아닌 효율 경쟁으로 패러다임을 전환해야 한다”며 “효율적인 AI 솔루션은 비용을 줄일 뿐 아니라 AI 격차 해소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날 키노트에선 샘 올트먼 오픈AI CEO와 앤디 제시 아마존 CEO도 영상 메시지를 통해 SK와의 협력을 강조했다. SK는 아마존웹서비스(AWS)와 손을 잡고 울산에 약 7조원 규모의 AI DC를 구축하고 있고, 오픈AI와도 서남권 AI DC 설립을 위한 전략적 파트너십을 구축했다. 올트먼 CEO는 “한국은 이미 AI 도입과 활용 면에서 세계적인 선도 국가로, SK는 이러한 기반 위에 최첨단 기술 역량과 전문성을 더해 한국의 강점을 한층 강화하고 있다”고 말했다. 제시 CEO도 “SK와 향후 반도체를 포함한 차세대 분야에서도 함께 협력할 여지가 많다”고 전했다.
특히 최근 엔비디아가 SK에 블랙웰 GPU 5만장을 공급하기로 발표하면서 양사 간 AI 팩토리 구축 등에 속도를 낼 것으로 보인다. 최 회장은 지난달 31일 경북 경주에서 황 CEO와 직접 만나 사업 방향을 논의하기도 했다. 최 회장은 이날 취재진과 만난 자리에서 “GPU를 확보했다고 끝나는 게 아니라, 그걸 써서 뭘 할 것이냐가 제일 큰 문제”라며 “한국의 미래 수요가 확 올라갈 것이란 점을 생각하면 (엔비디아에서 구매하는 GPU가) 타이밍 맞게 잘 들어왔다. 메모리가 제대로 공급되지 않으면 블랙웰이나 루빈을 만들 수가 없기 때문에 공급 사슬을 잘 관리하는 건 엔비디아 입장에서도 중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최근 SK그룹 사장단 인사로 새롭게 SK텔레콤을 이끌게 된 정재헌 CEO도 공식 석상에 처음 올랐다. 2020년 SK그룹에 합류한 정 CEO는 법조인 출신으로 처음으로 SK텔레콤 사장직에 올랐다. 정 CEO는 ‘AI 혁신의 중심, SKT AI 인프라의 현재와 미래’를 주제로 연설에 나서 “글로벌 자본과 기술을 유치해 대한민국이 AI 인프라의 허브로 도약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