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불닭 기운으로 내수도 노린다…'삼양라면 1963' 출시

본문

bt7f1484eb03db7ecdd496222670e0d49d.jpg

김정수 삼양식품 부회장이 3일 서울 중구 보코 서울 명동 호텔에서 열린 '삼양라면 1963' 신제품 출시 발표회에서 제품을 들고 있다. 김종호 기자

“새로 출시한 ‘삼양1963’은 브랜드 명예 회복과 진심의 귀환을 의미한다. 36년 전 오해와 논란을 바로잡고 새로운 100년 향한 첫걸음을 내딛고자 한다.” (김정수 삼양식품 부회장)

삼양식품이 ‘우지 파동’ 발생 36년 만에 우지(소기름)로 만든 프리미엄 라면 ‘삼양1963’을 선보였다. 3일 서울 중구 보코서울명동 호텔에서 열린 신제품 출시 발표회에서다. 1963년 개발한 한국 최초의 라면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해 브랜드의 정통성을 계승했다는 설명이다.

삼양식품 관계자는 “우지 사건이 발생한 1989년 11월 3일로부터 정확히 36년이 됐다”며 “삼양식품 창업 역사와 관련이 깊은 남대문 시장 인근에서 제품 발표회를 열었다”고 말했다.

btca94a508985a4511bf94375969c67c08.jpg

김정수 삼양식품 부회장을 비롯한 임직원들이 3일 서울 중구 보코 서울 명동 호텔에서 열린 '삼양라면 1963' 신제품 출시 발표회에서 기념 사진을 찍고 있다. 김종호 기자

삼양식품의 창업주인 고(故) 전중윤 명예회장은 남대문시장에서 ‘꿀꿀이 죽’으로 끼니를 해결하던 사람들의 모습을 보고, 1963년 한국 최초의 라면을 개발했다. 이후 삼양식품은 20년 가까이 국내 라면 시장 점유율 1위를 기록하며 성장했지만, 1989년 공업용 우지를 사용한다는 익명의 투서로 검찰 수사를 받으며 매출이 급락했다.

보건사회부(현 보건복지부) 자체 조사로 기름에 문제가 없다는 결론이 났고, 법원도 무죄로 판결했지만 훼손된 이미지는 쉽게 회복되지 않았다. 삼양식품은 이 사건 이후 라면에 우지를 쓰지 않고 100% 팜유만 사용해왔다.

삼양1963은 과거 삼양라면 제조법의 핵심이었던 우지를 활용해 면의 고소한 맛과 국물의 깊은 맛을 높이는 데 주력했다. 1960년대 라면 유탕처리 방식을 재해석해 동물성 기름(우지)과 식물성 기름(팜유)를 혼합해 사용했다. 액상 스프에 사골 육수를 첨가해 면에서 우러나온 우지의 풍미를 높이도록 했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불닭볶음면으로 글로벌 성공을 거둔 삼양식품은 추억의 원조 라면을 되살려 내수 시장에서도 점유율을 확대하겠다는 계획이다. 김정수 삼양식품 부회장은 “우지는 한동안 금기로 여겨졌지만 삼양라면 풍미를 완성하는 진심이 담긴 재료였다. 창업주이자 시아버지인 고 전중윤 명예회장의 평생 한을 조금이나마 풀어드릴 수 있을 것 같아 울컥하다”고 소회를 밝혔다. 이어 “삼양식품은 한국 미식 문화를 세계로 전파하는 글로벌 식품기업이 됐다”며 “멈추지 않고 또 한 번의 혁신을 시작하겠다”고 말했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3,387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