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APEC 효과?…한은 “경제심리, 4년 3개월 만에 최고치”
-
1회 연결
본문

한국판 블랙프라이데이 '코리아 그랜드 페스티벌'이 막을 올린 지난달 29일 서울 중구 롯데마트 서울역점에서 외국인 관광객들이 쇼핑을 하고 있다. '코리아 그랜드 페스티벌'은 범정부 역량을 집결해 마련한 국가단위 대규모 소비축제로, 오는 9일까지 12일간 전국 곳곳에서 온·오프라인을 통해 동시다발적으로 개최된다. 뉴스1
국민의 경제심리가 4년 3개월 만에 가장 긍정적인 수준으로 회복됐다. 한국은행은 4일 경제통계시스템을 통해 지난달 31일 기준 뉴스심리지수가 124.62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이는 2021년 7월 29일(125.25) 이후 가장 높은 수치다.
뉴스심리지수는 지난해 12월 10일 비상계엄 직후 77.08로 바닥을 찍은 뒤 점차 반등했다. 올해 8월 25일 99.66을 기록하며 100선을 돌파한 이후 완만한 상승세를 유지했다. 지난달 13일에는 한미 관세 협상 불확실성과 원/달러 환율 급등 여파로 101.04까지 떨어졌지만, 이후 빠르게 회복해 29일 120선을 돌파했다. 지수가 120을 넘은 것은 2021년 8월 2일(120.69) 이후 처음이다.
한국은행이 2022년 1월부터 실험적으로 공표 중인 뉴스심리지수는 경제 기사 속 긍정·부정 표현을 기계학습으로 분석해 만든 통계다. 지수가 100보다 높으면 장기 평균보다 낙관적임을 뜻한다.

최근 6개월간 뉴스심리지수 추이.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 자료
최근 지수의 급등은 경주에서 열린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를 계기로 진행된 한미정상회담과 무관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한미정상회담을 하루 앞둔 지난달 28일 118.36이었던 지수는 29일 121.2, 30일 124.05, 31일 124.62로 연속 상승했다. 이는 한미 관세 협상 타결 소식이 반영된 결과로 풀이된다.
이창용 한은 총재는 지난달 29일 국회 국정감사에서 “굉장히 잘 된 협상”이라며 “다행이라고 생각한다”고 평가했다. 같은 시기 코스피가 반도체 업종 중심으로 급등하며 신고가를 경신한 것도 경제심리 개선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전문가들은 이번 흐름이 향후 전반적인 경기 개선 기대를 높이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고 있다. 뉴스심리지수는 일반적으로 소비자심리지수(CCSI)보다 약 한 달, 제조업 업황 BSI보다 약 두 달 선행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