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10∙15 후폭풍, 무주택자 떤다…"내년 전국 전셋값 4% 치솟을 것"
-
4회 연결
본문

지난 2일 서울 시내의 부동산에 붙은 전월세 안내문. 연합뉴스
내년 전국 주택 전세가격이 연간 4.0% 오를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올해 전세가격이 1.0%(연간 잠정치) 오른 점을 고려하면 내년 전세값이 상당히 급등할 수 있다는 얘기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건산연)은 4일 개최한 ‘2026년 건설·부동산 경기전망 세미나’에서 이같이 예상했다. 이는 문재인 정부 시절인 2021년 전세가격이 연간 5.1% 상승한 이후 가장 높은 상승 폭이다.
김성환 연구위원은 “2021년에는 전세계약갱신청구권이 처음 도입되면서 전세가격이 크게 뛰었던 때”라며 “이번에는 10·15 대책 강도가 워낙 세 내년에도 전셋값이 크게 오를 수 있다”고 말했다. ▶내년 신규 입주 물량이 주는 데다 ▶수도권 주요 지역이 토허 구역으로 지정돼 전세 낀 매물이 줄어드는 점 ▶매수세 둔화에 따른 전세 수요 유입 등을 전세가격 상승 요인으로 짚었다. 김 연구위원은 “인기 지역인 수도권은 내년 전세가격이 연간 5.0% 이상 오를 수 있다”고 덧붙였다.
현장에서도 내년 전셋값 상승을 예상하는 이들이 많다. 서울 개포동의 한 공인중개사는 "갱신·재계약도 많아 대책 이후 당장 전세가격이 오르고 있지는 않지만, 토허제로 전세 매물이 이전보다 줄어드는 건 사실"이라며 "직주근접·학군지 같은 인기 지역은 전세값이 오를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신규 계약을 해야 하는 사회초년생, 신혼부부가 전세난을 겪을 수 있다"고 내다봤다.

박경민 기자
건산연은 내년 주택 매매가격은 수도권이 2.0% 상승하는 반면 지방은 0.5% 하락세가 이어지는 양극화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했다. 다만 지방 매매가격 낙폭이 올해 대비 축소되면서 전국 기준 0.8% 상승할 것으로 내다봤다. 김 연구위원은 “정부의 규제 기조에도 수도권 주요 지역에 집을 사려는 수요는 여전하다”며 “금리·대출 요인은 규제로 하방 압력이 되겠지만, 주가·국내 성장률 등 주요 경제지표가 개선되며 매매시장 상방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내년 국내 건설수주는 전년 대비 4.0% 증가한 231조2000억원으로 예상됐다. 건설 투자도 같은 기간 2.0% 증가한 270조원 수준으로 전망됐다. 이지혜 연구위원은 “정부의 사회기반시설(SOC), 공공주택 발주 증가로 건설 수주 및 투자가 반등하지만, 민간 주택 시장은 규제 강화, 높은 공사비 등으로 회복이 더디다”며 “건설 경기 침체가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고 지적했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