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노키아 몰락 후 위성강국 된 핀란드, 시작은 교실이었다

본문

bt21b763eaec936682ea574e8a6dc45c93.jpg

지난 10월 14일 핀란드 에스포 알토대학교에서 얀 프락스 교수가 '알토-1' 위성 모형을 들고 소개하고 있다. 장윤서 기자

2010년 핀란드 에스포의 국립 알토대학교. ‘위성 시스템’ 수업을 맡은 얀 프락스 교수는 강의실에 들어갔다가 준비해온 강의계획서를 탁자에 내려놨다. 수강신청 학생이 7명뿐이어서다. 국가 경제를 지탱해 온 노키아가 애플의 아이폰에 밀려 가라앉는 핀란드의 공대 현실이었다. 프락스 교수는 수업을 단념하고 학생들에게 물었다. “무엇을 하고 싶지?” 학생들이 대답했다. “인공 위성을 직접 만들고 싶습니다.”

프락스 교수는 고리타분한 강의 대신 학생들의 마음이 가는 길을 따라가기로 했다. 가로·세로 길이가 10cm 남짓한 초소형위성인 ‘큐브샛’ 위성은 학생들도 실현할 수 있는 아이디어였다. 인공 위성을 우주에 쏘아올린다는 소문에 경영대, 예술대에서도 학생들이 모여들었다. 그리고 7년 후, 학생들이 만든 인공 위성 ‘알토-1’은 인도의 발사체에 실려 별의 바다 속으로 나아갔다. 핀란드 역사상 첫 번째 위성이었다.

지난달 14일 알토대에서 만난 프락스 교수는 “알토-1의 성공으로 핀란드 전역에 소형 위성 열풍이 일었다. 다른 대학들에서도 인공 위성 제작에 나섰고, 현재 핀란드 우주 산업의 씨앗이 됐다”고 말했다. 알토-1은 지난해 임무를 마치고 대기권에서 소멸했다. 하지만 경험은 핀란드 땅에 뿌리를 내리고 꽃을 피웠다.

bt7b7ff44fb30232a4992042d46fcc537f.jpg

핀란드 위성기업 아이스아이가 최근 공개한 한국 비무장지대(DMZ) 이미지. 아이스아이 제공

아이스아이(Iceye) 역시 그 중 하나다. 알토-1에 참여했던 학생들이 창업한 아이스아이는 세계 최대 규모의 합성개구레이더(SAR·레이더를 쏘아 지상 지형의 이미지를 만드는 기술) 위성 기업으로 거듭났다. 회사이름과 같은 아이스아이 위성에 달린 SAR 센서는 밤이나 구름이 낀 날에도 지상을 관측할 수 있다. 위성이 관측한 데이터는 인공지능(AI) 기술로 고객에게 필요한 정보를 분석해 수 시간 내에 전달된다.

아이스아이는 원래는 이름처럼 북극 빙하 관측용 위성이었다. 그러나 2022년 우크라이나 전쟁이 변곡점이 됐다. 아이스아이 위성으로 촬영한 러시아군의 실시간 이동 영상을 우크라이나 정부에 제공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지구 관측에 주력했던 소형 위성의 국방 활용 가능성을 입증한 순간이었다.

우크라이나 뿐만 아니다. 올해 3월 발사한 4세대 아이스아이로는 한국 비무장지대(DMZ) 인근의 북한군 동향을 파악 할 수 있다. 기자가 찾은 핀란드의 아이스아이 본사에서 북한이 비무장지대(DMZ)에 건설한 10㎞ 길이의 대전차방벽 영상을 볼 수 있었다. 아이스아이 관계자는 “위성이 한반도 위를 한 번 지나갈 때마다 북한 전역을 초고해상도(16~25㎝)로 관측할 수 있다”며 “소형 위성으로도 국경 감시가 가능하게 됐다”라고 말했다.

bta7584c37e133ac7e194243645c7b0160.jpg

13일 핀란드 에스포 아이스아이 본사에서 관계자가 아이스아이 위성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장윤서 기자

핀란드 위성산업의 밑거름은 역설적으로 노키아의 몰락이었다. 전세계 휴대전화를 한 때 제패했던 노키아에서 퇴사한 수많은 기술자가 인공 위성산업의 일꾼이 됐다. 유시 새일리 국립기술연구센터 수석과학자는 ”노키아가 망한 이후 창업을 할 수밖에 없는 절박함이 원동력이 됐다“고 말했다.

아이스아이는 모국인 핀란드 뿐만 아니라, 포르투갈, 네덜란드, 폴란드에도 위성을 공급하고 있다.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인공 위성에 대한 수요가 급증했기 때문이다. 핀란드의 인공 위성 산업 관계자들은 “위성 개발 경험이 풍부하고 기술 수준이 매우 높다”며 한국 역시 이 산업의 강자로 떠오를 수 있다고 전망했다. 세투 사베다 수바남 리오르빗(ReOrbit) 최고경영자(CEO)는 “핀란드는 러시아와 국경을 맞대고 있어 한국과 유사한 안보 환경을 갖고 있다”며 “기술력이 뛰어난 한국과 협력하면 훌륭한 방위 시스템을 만들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3,333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