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광주 왜 왔냐" 가로막힌 장동혁…방명록도 못쓰고 5·18 묘지 떴다 [영상]
-
2회 연결
본문

장동혁 국민의힘 대표가 6일 오후 광주 북구 국립5·18민주묘지에서 참배를 위해 참배단으로 향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장 대표 지지자들과 시민단체 회원들 사이에서 서로 밀치거나 고성이 오가는 등 충돌이 빚어졌다. 연합뉴스
6일 오후 1시40분쯤 광주광역시 북구 운정동 국립 5·18민주묘지. 국민의힘 장동혁 대표 일행이 묘지 입구인 민주의문 앞에 정차한 버스에서 내리자 광주지역 시민단체 광주 지역 시민사회단체와 시민 등 60~70여명은 장 대표의 참배를 가로막았다. 시민들은 5·18묘지 참배를 위해 광주를 찾은 장 대표를 향해 “극우선동 내란공범”, “장동혁은 광주를 떠나라”, “광주에 왜 왔냐” 등을 외쳤다.
이들은 “5·18을 폄훼하고 내란(계엄)을 옹호한 인물이 사죄 없이 민주묘지를 찾는 것은 정치 쇼에 불과하다”며 장 대표의 길을 막아섰다. 이 과정에서 장 대표 지지자들과 시민단체 관계자들 사이에서 머리카락을 잡아당기거나 고성이 오가는 등 마찰을 빚었다. 결국 대표 취임 후 처음으로 광주를 찾은 장 대표의 이날 5·18묘지 참배는 무산됐다.

장동혁 국민의힘 대표가 6일 오후 광주 북구 국립5·18민주묘지에서 참배를 위해 참배단으로 향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장 대표 지지자들과 시민단체 회원들 사이에서 서로 밀치거나 고성이 오가는 등 충돌이 빚어졌다. 연합뉴스
국힘 장 대표의 호남권 공략의 첫 행보가 광주 지역 시민들의 반대에 부딪혀 파행됐다. 이날 장 대표의 5·18묘지 참배는 국힘 대표 교체 후 첫 호남권 공략 정책 시도로 평가받아왔다.
이날 장 대표의 5·18묘지 참배 무산은 시민단체들에 의해 예고된 상태였다. 광주전남 촛불행동 등 시민단체 회원들은 이날 장 대표가 도착하기 전인 오후 1시부터 5·18묘지 입구에 모여 항의 기자회견을 열었다.
이들은 “장 대표는 국회 입성 전 판사 재직 시절 전두환 재판에 특혜를 부여했으며, 계엄에 동조하고 윤석열 구속 후 면회를 하며 내란에 대한 죄책감조차 없는 자”라고 비난했다.
또 “비상계엄으로 내란을 일으키려 했던 윤석열, 그 충직한 오른팔인 국민의힘이 그 어떤 사과나 반성 없이 광주를 방문해 민심을 운운하는 것이 치가 떨린다”고 했다.

6일 오후 광주 북구 국립5·18민주묘지에서 시민단체 한 회원이 장동혁 국민의힘 대표의 참배를 반대하며 추모 화환을 치우고 있다. 이날 참배 시도 과정에서 장 대표 지지자들과 시민단체 회원들 사이에서 서로 밀치거나 고성이 오가는 등 충돌이 빚어졌다. 뉴스1
이들은 장 대표가 탄 버스가 도착하자 ‘5·18정신 훼손하는 극우선동 장동혁은 광주를 떠나라’, ‘국민통합 정치쇼, 오월영령 통곡한다’ 등의 손피켓을 들고 장 대표 일행의 길목을 막아섰다.
장 대표는 격렬한 참배 반대 인파에 막혀 방명록도 작성하지 못한 채 참배단으로 향했다. 장 대표가 참배단에 도착하기 앞서 시민단체 한 회원은 ‘국민의힘 장동혁’이라고 적힌 추모 화환을 들어 치우려고 시도했다. 이 과정에서 화환을 지키려는 묘지 관계자와 마찰을 빚었고, 화환은 파손됐다.
장 대표는 참배가 무산되자 발길을 돌려 다시 버스에 올라탔다. 묘지에 도착한 지 20여분 만이다. 장 대표가 5·18묘지 밖으로 나가는 과정에서도 시민단체와 지지자들의 충돌이 이어지기도 했다. 충돌 과정에서 국힘 일부 의원들과 지지자, 시민단체 회원 등이 바닥에 쓰러지기도 했다.

장동혁 국민의힘 대표가 6일 오후 광주 북구 국립5·18민주묘지에서 참배를 위해 참배단으로 향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장 대표 지지자들과 시민단체 회원들 사이에서 서로 밀치거나 고성이 오가는 등 충돌이 빚어졌다. 뉴스1
이들의 물리적 충돌은 오후 2시쯤 장 대표가 탄 버스가 떠나자 별다른 마찰 없이 해산했다. 취임 후 첫 광주를 방문한 장 대표는 이날 광주복합쇼핑몰 예정 부지와 광주 인공지능(AI)데이터센터 등 지역 현안 현장을 방문한다.
광주 시민단체는 장 대표의 5·18묘지 참배 소식이 전해진 직후부터 규탄 기자회견을 예고해왔다. 광주 방문 하루 전인 지난 5일에는 광주 81개 시민단체가 공동성명을 내고, 장 대표에게 5·18 폄훼 및 내란 옹호 등에 대한 사죄를 요구하기도 했다.

장동혁 국민의힘 대표가 6일 오후 광주 북구 국립5·18민주묘지에서 시민단체의 반발로 참배를 하지 못하고 발길을 돌리고 있다. 참배 시도 과정에서 장 대표 지지자들과 시민단체 회원들 사이에서 서로 밀치거나 고성이 오가는 등 충돌이 빚어졌다. 연합뉴스
5·18민주화운동 관련 4개 단체(유족회·부상자회·공로자회·기념재단)도 장 대표의 광주 방문에 대한 유감을 표명했다. 당초 국힘 측은 5·18 관련 4개 단체와 간담회를 가질 예정이었으나 단체들의 반대로 무산됐다. 이들은 “(장 대표는) 내란 정당의 대표”라며 면담을 거부했다.
양재혁 5·18유족회 회장은 “광주는 전두환 신군부의 계엄으로 인한 5·18의 아픔이 여전한 곳”이라며 “유족회 입장에선 최근 장 대표의 윤 전 대통령 면회 등에 대한 사죄나 5·18정신의 헌법전문 수록 등을 요구하려고도 했으나 시민들의 반발 여론 등을 감안해 면담을 갖지 않기로 했다”고 말했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