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굉음 울리더니 60m 타워 와르르…울산 발전소 붕괴사고 7명 매몰

본문

6일 오후 2시 6분쯤 울산 남구 용잠동 울산화력발전소에서 철거 작업 중이던 60m 높이의 보일러 타워가 무너졌다. 이 사고로 작업중이던 한진중공업의 하청업체 직원 9명이 매몰됐다. 오후 5시 기준 2명이 구조됐고, 매몰된 7명 중 2명을 발견해 구조 중이다. 50여명의 소방대원은 무너진 구조물 더미 속에서 구조작업을 벌이고 있다. 이재명 대통령은 “구조를 위해 가용 자원을 총동원하라”고 지시하며 “구조 인력의 2차 안전사고 방지에도 만전을 기해달라”고 당부했다.

울산소방본부에 따르면 오후 5시 기준 60대 남성 1명과 40대 남성 1명 등 2명은 구조돼 병원으로 이송됐다. 경상으로 생명에는 지장이 없는 상태로 전해졌다. 소방당국은 매몰자 7명 중 2명을 발견해 구조 중이다. 김정식 울산 남부소방서 예방안전과장은 “발견자들의 의식 여부는 확인되지 않았다”며 “땅을 파면서 구조물 사이 틈을 이용해 구조할 예정이며 크레인 3대와 구조전문가 등을 투입했다”고 말했다. 소방당국은 펌프차 3대 등 장비 총 13대와 인력 50여 명을 투입해 수색·구조 작업 중이다.

bt528ebcff78db11ea87a54828e340d125.jpg

6일 오후 울산 남구 용잠로 동서발전 울산화력발전소에서 붕괴 사고가 발생해 소방 당국이 구조 작업에 나서고 있다. 이 사고로 근로자 7명이 매몰된 것으로 추정된다. 뉴스1

발전소 내에는 쌍둥이처럼 똑같이 생긴 높이 60m짜리 보일러 타워 4·5·6호기가 나란히 서 있는데, 그중 가운데 있던 5호기가 이날 오후 2시 2분께 무너졌다. 현장은 폭탄이 떨어진 것처럼 붕괴한 구조물이 산더미처럼 쌓여있었다.

이날 사고는 철거를 위해 취약화 작업을 진행하던 중 발생했다. 취약화 작업은 발파를 통한 철거 때 시설이 쉽게 무너지도록 하기 위해 기둥을 비롯한 구조물을 미리 잘라놓는 일을 말한다. 이날 사고 직후 거대한 먼지가 현장을 뒤덮고, 인근 도로와 공단 지역에서 굉음 들었다는 신고가 소방당국으로 접수됐다.

사고를 당한 9명은 한진중공업 하청업체인 ‘코리아카코’ 소속 근로자로 1명은 정직원, 나머지 8명은 계약직 형태의 근로자라고 소방당국은 설명했다. 이들은 지난 10월부터 발파 작업에 투입됐다.

bte00bc040654620239ddc25d893d06cc7.jpg

6일 오후 울산 남구 용잠로 울산화력발전소 내 구조물이 붕괴돼 있다. 이 사고로 근로자 7명이 매몰된 것으로 추정된다. 사진 민주노총 울산본부

무너진 구조물은 2021년 가동이 중지된 보일러 타워로 철거를 위한 발파작업 중 붕괴했다. 구조물은 60여m 높이, 12층 건물로 6층과 7층 사이에 있는 보일러실의 용단작업(열원을 이용한 금속 절단 작업) 중 사고가 발생했다. 지난해부터 철거 작업이 시작돼 내년 6월까지 철거를 끝낼 예정이었다.

전문가들은 용단작업을 하다 보일러 타워 무게중심이 기울어지면서 붕괴한 것으로 추정한다. 이송규 한국안전전문가협회장은 “보일러 타워를 지탱하는 4개 기둥을 발파하기 전에 나머지 부분은 용단작업을 해야 한 번에 와르르 무너진다”며 “용단작업을 하던 중 무게중심이 살짝 기울어지면서 붕괴했을 것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이어 해체계획서대로 진행되지 않았을 가능성도 제기했다. 이 회장은 “철거작업을 하기 전 해체계획서를 마련하는데 그 절차대로 작업이 진행됐는지 불분명하다”며 “작업대로 했다고 한다면 그 해체작업계획서가 적정하게 수립됐는지 살펴봐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매몰자 구조작업을 할 때 2차 붕괴사고가 나지 않도록 하중 분포를 분석해가며 안전하게 구조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매몰사고를 보고받은 김민석 국무총리는 인명구조를 최우선 하라고 지시했다. 김 총리는 “행안부, 소방청, 경찰청, 경상북도, 울산광역시는 가용한 모든 장비와 인력을 동원해 인명구조에 최우선 할 것”이라며 “기후에너지환경부, 울산화력발전소는 관계기관에 신속히 상황 전파 및 사고 수습에 만전을 기할 것”을 당부했다.

이어 “현장 활동 중인 소방공무원의 안전에도 만전을 기하고, 현장 통제 및 주민 대피 안내 등 안전조치를 철저히 할 것”을 지시했다.

윤호중 행안부 장관도 “관련 기관은 가용한 인력과 장비를 총동원해 인명구조에 총력을 다하라”고 긴급 지시했다.

김영훈 고용노동부 장관은 “재해자 구조 작업 후 압수수색 등 강제수사를 적극 추진해 철저히 사고 원인을 규명하겠다”고 밝혔다. 노동부는 산업안전보건법 및 중대재해처벌법 위반 여부 등에 대한 엄정히 수사하고, 행정안전부·기후에너지환경부 등과 함께 중앙사고수습본부를 꾸려 사고 수습을 지원할 계획이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3,632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