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속보] 중앙지검장 "대검과 의견 달랐다…항소 포기 지시에 사의"
-
11회 연결
본문

정진우 서울중앙지검장. 임현동 기자
검찰이 ‘대장동 개발 비리 의혹’ 사건 항소를 포기한지 하루 만에 사의를 표명한 정진우 서울중앙지검장(63·사법연수원 29기)이 9일 “대검찰청의 지시를 수용하지만, 중앙지검의 의견과 달랐음을 분명히 하고 이번 상황에 책임을 지기 위해 사의를 표명했다”고 밝혔다.
정 지검장은 이날 언론에 배포한 입장문에서 “대검의 지휘권은 따라야 하고 존중되어야 한다”며 “중앙지검의 의견을 설득했지만 관철하지 못했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이번 논란은 서울중앙지검이 지난 8일 유동규 전 성남도시개발공사 기획본부장과 김만배 씨 등 민간업자들의 1심 판결에 대해 항소를 포기하면서 촉발됐다. 검찰 내부에서는 “대검과 중앙지검 지휘부가 이유를 명확히 밝히지 않고 항소를 금지한 것은 부당하고 전례 없는 지시”라는 비판이 나왔다.
정 지검장은 항소장 제출 마감 4시간여 전까지 항소 필요성을 승인했으나, 대검이 최종 불허 결정을 내리자 수사팀에 ‘항소 포기’ 방침을 전달했다. 이후 정 지검장은 항소 포기 결정과 관련해 중앙지검과 대검의 의견 차이를 분명히 하며 책임을 지겠다는 뜻으로 사의를 표명했다.
한편 노만석 검찰총장 직무대행은 같은 날 입장문을 내고 “대장동 사건은 일선청 보고와 법무부 의견을 참고하고, 판결 취지와 항소 기준, 사건 경과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결과 항소를 하지 않는 것이 타당하다고 판단했다”고 밝혔다. 이어 “검찰총장 대행으로서 숙고 끝에 내린 결정이며, 다양한 의견과 우려가 있음을 잘 알고 있다. 구성원들은 이를 이해해 달라”고 덧붙였다.
검찰 관계자는 “공소유지를 맡은 서울중앙지검 내부에서는 이미 항소 결정을 내리고 결재까지 마쳤으나, 법무부와 대검 지시가 전달되면서 상황이 급변했다”고 전했다. 형사소송법상 항소는 선고일로부터 7일 내 제기해야 하며, 검찰이 항소하지 않으면 항소심에서 1심보다 무거운 형을 선고할 가능성은 사라진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