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서울 수능 응시자 11만4158명…수능날 서울 지하철 29회 증편 운행
-
11회 연결
본문
서울시가 오는 13일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응시 수험생들을 위해 시험 당일 지하철 운행 대수를 늘린다. 또 지각생을 위한 비상수송차량을 무료로 지원한다. 서울시는 이런 내용의 교통종합대책을 마련했다고 10일 밝혔다.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을 나흘 앞둔 9일 서울 종로구 조계사에서 열린 수능 기도를 찾은 수험생 학부모 및 불자들이 기도를 하고 있다. 뉴스1
올해는 서울 228개 시험장에서 11만4158명의 수험생이 대학수학능력시험에 응시할 예정이다. 수험생들은 지정된 시험장에 오전 6시 30분부터 8시 10분 사이에 입실해야 한다. 시는 수능 당일 교통혼잡으로 지각하는 수험생이 없도록 시, 자치구, 관공서 등의 출근 시간을 평소보다 1시간 늦은 오전 10시로 조정했다.
서울시는 지하철로 이동하는 수험생과 늦은 출근을 하는 직장인들을 고려해 운행횟수를 평소보다 29회 늘려 오전 6시부터 10시 사이에 집중 배차한다. 열차 고장 등 만일의 사태에 대비해 예비차량도 16대 편성한다. 시내버스와 마을버스도 수험생 입실 및 귀가 시간대에 맞춰 오전 6시부터 8시 10분까지, 오후 6시부터 9시까지 집중배차한다.
자치구별로는 ‘수험생 수송지원차량’ 안내문을 부착한 민·관용차량 646대를 시험장 인근 지하철역, 버스정류소, 주요 교차로 등에 대기하고 지각이 우려되는 수험생들을 무료로 데려다줄 계획이다. 이날 자치구 공무원, 민간봉사자 등 2200명이 동원돼 이동과 안내를 돕는다.
장애인 수험생을 위해 서울시설공단은 서울장애인콜택시에 등록된 수험생들이 시험장까지 빠르게 이동하고 귀가할 수 있도록 우선 배차 지정한다. 장애인 수험생 우선 배차는 지난 4일부터 사전예약을 받고 있으며, 사전예약을 하지 않았더라도 시험 당일 요청이 있으면 우선 배차받을 수 있다.
서울시는 또한 수험생이 정숙한 환경에서 시험을 치를 수 있도록 시험장 인근의 소음 유발 공사와 점검을 일시 중단한다. 버스와 택시 운전기사에게는 경적 사용 및 급출발·급제동을 자제하도록 협조를 요청했다. 시험장 반경 2km 이내에서는 주정차 위반 차량을 집중 단속하며, 자치구는 시험장 200m 전방 도로를 일반 차량의 진·출입이 불가능하도록 통제한다.
여장권 서울시 교통실장은 “수험생들이 불편 없이 시험장에 도착해 온전히 시험에 집중할 수 있도록 전방위적 교통편의를 제공하겠다”며 “수험생 가족과 시민들께서도 조용한 응원과 대중교통 이용으로 협조해주시기 바란다”고 말했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