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연일 무더위·열대야, 건강한 여름나는 방법은…야간도 온열질환 주의
-
3회 연결
본문

무더위가 계속되며 폭염특보가 발효 중인 2일 경북 고령군 다산면의 한 밭에서 파 모종을 심던 농민이 얼음물을 마시며 더위를 식히고 있다. 연합뉴스
질병관리청이 3일 무더위와 열대야가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온열질환 예방을 위한 건강수칙을 개발해 배포했다고 밝혔다.
질병청에 따르면, 6월 하순(6월 21~30일) 기준 온열질환자는 전년 같은 기간보다 123명 증가했다. 5월 15일부터 7월 1일까지 집계된 총 온열질환자는 524명으로 전년(390명) 대비 약 1.3배 늘었다. 같은 기간 사망자는 3명으로, 전년 대비 1.5배 증가했다.
질병청이 운영하는‘온열질환응급실감시체계’ 자료에 따르면 전체 온열질환자 중 84.9%가 실외에서 발생했다. 특히 작업장(26.0%), 논밭(17.0%), 길가(17.2%) 등에서 많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별로는 65세 이상이 전체의 30.5%를 차지해, 고령층과 야외 근로자 등 폭염 취약계층에 대한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온열질환은 열사병, 열탈진 등 고온 환경에 장시간 노출될 때 발생하는 급성 질환으로, 방치 시 생명까지 위협할 수 있다. 또한 열대야는 피로감, 집중력 저하, 두통, 식욕부진, 불면증 등을 유발할 수 있어 건강한 수면 환경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이 질병청의 설명이다.
질병청은 ▶취침 전과 취침 환경을 시원하게 하기 ▶과식·음주·카페인 섭취 자제 ▶수분 충분히 섭취 ▶낮 시간 야외활동 자제 ▶시원한 장소에서 휴식하기 등 열대야 및 폭염 대비 건강수칙을 실천할 것을 권고했다.

질병관리청
지영미 질병청장은 “열대야는 단순히 잠을 설치는 불편함을 넘어 생명과 직결될 수 있는 건강 위협 요인”이라며 “과식, 알코올, 카페인 섭취를 줄이고 시원한 수면 환경 만들기 등 열대야 대비 건강수칙 실천을 통해 건강한 여름을 보내시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또한 “열대야뿐만 아니라 낮 폭염에도 각별히 유의해야 하며, 무더운 날씨에는 야외활동을 자제하고 시원한 환경에서 휴식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당부했다.

질병관리청

질병관리청
온열질환 감시체계(5월15일~9월30일) 운영 기간 동안 수집된 온열질환 발생 정보는 질병청 누리집(www.kdca.go.kr)을 통해 매일 공개되며, 지난 연도 발생현황 통계는 감시체계 연보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