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프] 피부 붉게 붓더니 목숨 잃었다…'치사율 50%' 이 병 뭐길래
-
4회 연결
본문

여름 장마철은 각종 세균·바이러스의 활동이 활발해지는 시기다. 기온과 습도가 높아지면서 식중독과 장염 같은 소화기 질환이 자주 발생하고, 해양 세균에 의한 감염 위험도 커진다. 그중에서도 여름철 급증하는 비브리오 패혈증은 치명률이 높아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덜 익힌 어패류, 작은 상처 하나가 생명을 위협할 정도로 치명적일 수 있다.
증상 심해지면 48시간 내 사망할 수도
비브리오 패혈증은 비브리오 불니피쿠스균에 감염돼 발생하는 세균성 질환이다. 어패류를 날 것, 덜 익힌 상태로 섭취하거나 바닷물 속 균이 피부 상처를 통해 침투할 때 감염될 수 있다. 피부 연조직 감염과 급성 패혈증을 일으키는 3급 법정 감염병으로 분류된다. 비브리오 불니피쿠스균은 주로 연안 해수에 서식한다. 해수 온도가 18도 이상 상승하는 5~6월경부터 검출되기 시작해 수온이 높은 8~10월 사이 집중적으로 감염이 발생한다.
비브리오 패혈증은 감염 경로에 따라 창상 감염형과 원발성 패혈증으로 나뉜다. 피부 상처 부위에 바닷물이나 어패류 접촉으로 균이 침투한 경우가 창상 감염형이다. 감염 부위가 급속히 붓고 붉어지며 수포와 괴사로 이어질 수 있다. 건강한 성인이라도 증상이 빠르게 진행되므로 조기에 항생제를 투여하고 적극적으로 상처 치료를 받아야 한다.
원발성 패혈증은 주로 간 질환자, 알코올중독자, 면역결핍환자 등 고위험군이 오염된 어패류를 섭취했을 때 발생한다. 이땐 고열, 오한, 쇠약감, 구토, 설사 등 전신 증상이 나타난다. 발병 후 30시간 이내 손발 부위에 부종, 반상 출혈, 수포, 궤양 등 피부 변화가 동반된다. 증상이 빠르게 진행될 경우 48시간 이내 사망에 이를 수 있다.
발병 시 치사율 50%, 해산물 섭취 주의해야
치료에는 세팔로스포린계·테트라사이클린계 항생제가 주로 사용된다. 피부에 괴사 조직이 생긴 경우 절개나 절단 등 외과적 치료가 병행되기도 한다. 증상이 나타난 후 신속한 대처가 생명을 좌우한다. 고려대 안암병원 감염내과 김정연 교수는 “비브리오 패혈증 증상이 심해지면 빠르게 쇼크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초기 증상이 나타났을 때 병원을 방문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가장 중요한 건 예방이다. 여름철엔 특히 해산물 섭취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어패류는 5도 이하에서 저온 보관하고, 조리 전에는 해수가 아닌 흐르는 수돗물로 깨끗이 세척해야 한다. 어패류는 85도 이상에서 충분히 익혀 섭취한다. 조개류는 껍질이 열린 후에도 5분 이상 더 끓이는 것이 좋다.
피부에 상처가 있을 땐 바닷물이나 갯벌에 직접 접촉하지 않도록 한다. 어패류를 손질할 땐 고무장갑을 착용해 균의 침입을 막는다. 김 교수는 “최근 일주일 이내에 제대로 익히지 않은 해산물이나 어패류를 섭취했고 오한·발열 등 증상이 동반된다면 전문의의 진료를 받아야 한다”며 “고위험군은 비브리오 패혈증 발병 시 치사율이 50%까지 높아지기 때문에 예방 수칙을 철저히 지키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