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한·미 산업장관 80분 무역 협상…‘2+2회담’ 대신해 막바지 총력
-
7회 연결
본문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대미 통상 협상과 관련, 지난 23일 인천국제공항을 통해 미국 워싱턴으로 출국하고 있다.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상호관세 부과 유예 시한을 일주일 앞두고 정부가 막바지 협상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미국을 방문 중인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24일(현지시간) 워싱턴DC에서 미국 측 카운터파트인 하워드 러트닉 상무부 장관과 만났다고 한·미 관세 및 무역 협상에 정통한 한 소식통이 전했다.
양국 산업장관의 만남은 미 동부시간으로 이날 오전 11시30분부터 1시간20분간 진행됐다고 한다. 이 자리에는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도 함께했다.
당초 25일로 예정됐던 한·미 간 경제·무역 분야 2+2 고위급 회담이 스콧 베센트 미 재무장관의 일정 문제로 무산되면서 구윤철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의 미국 출장도 함께 연기된 터라 김 장관은 현재 미국에 머무르는 최고위급 정부 대표다.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부 장관이 지난달 4일(현지시간) 워싱턴DC에서 열린 상원 세출위원회 청문회에서 답변하고 있다. AFP=연합뉴스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7일 한국에 25%의 상호관세율을 설정하고 관세 부과 유예 시한을 다시 8월1일까지로 연장한 만큼 이제 미국과의 협상 시한은 일주일을 남겨 두고 있다.
이러한 시간적 제약뿐 아니라 한국에 설정된 25%의 상호관세율을 최대한 낮추는 게 협상 목표여서 미국과 일본이 최근 무역 협상을 타결한 것도 큰 부담이 된 상황이다.
일본은 주력 수출 품목인 자동차를 포함해 대미 수출품에 대한 관세를 당초 25%에서 15%로 대폭 낮췄다. 일본이 협상을 타결하면서 향후 5500억 달러(약 759조원) 규모의 대미 투자를 하기로 약속했고 미국 측은 한국에도 4000억 달러(약 548조원)의 대미 투자를 요구했다는 외신 보도까지 나왔다.
상호관세 발효 일주일 앞…美고위급과 연쇄 회담
김 장관은 이날 오후 4시40분쯤 산업부 직원들과 함께 또 다른 미국 고위 당국자를 만나기 위해 숙소를 나서는 모습이 목격되기도 했다. 김 장관은 관세 유예 시한이 얼마 남지 않은 만큼 최대한 많은 미국 측 인사와 만나 전방위적 협상을 벌이는 모습이다.
김 장관은 이날 낮에 이미 러트닉 상무장관을 만난 터라 또 다른 카운터파트라고 할 수 있는 백악관 국가에너지위원회 위원장을 겸하고 있는 더그 버검 내무장관 혹은 크리스 라이트 에너지장관일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