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한국기독교 선교 140년 역사를 한눈에 본다
-
8회 연결
본문
한국기독교 선교 140주년을 맞아 한국의 기독교 역사를 담는 한국기독교역사문화관이다음 달 12일 개관한다. 한국기독교역사문화재단 이영훈(여의도순복음교회 담임목사) 이사장은 25일 서울 중구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그동안 한국기독교 역사문화를 보존ㆍ전시ㆍ교육ㆍ연구하는 기관을 설립하기 위해 노력해 왔다”며 “이제 그 결실인 한국기독교역사문화관을 개관하게 돼 기쁘게 생각한다”고 소회를 밝혔다.

25일 한국기독교역사문화재단은 한국기독교 선교 140년 역사를 담는 역사관을 다음달 12일 개관한다고 밝혔다. 왼쪽부터 안교성 초대관장, 이영훈 이사장, 한기채 부이사장, 손달익 이사. 백성호 기자

서울 은평구 진관1로에 있는 한국기독교역사문화관은 다음달 12일 개관한다. 사진 한국기독교역사문화관
서울 은평구 은평뉴타운 근처에 들어서는 한국기독교역사문화관은 지하 1층, 지상 2층 규모다. 상설전시실과 기획전시실, 다목적실과 열람실, 수장고와 수유실 등이 마련된다. 건립 예산은 약 100억 원, 그중 35억 원이 국비와 서울시비로 지원됐다. 토지 마련은 자체적으로 하고, 건축비의 절반이 세금으로 지원됐다.
이영훈 이사장은 “이 시설의 건립에 국민의 세금이 사용된 것을 잘 알고 있다. 단순히 기독교인들만을 위한 시설이 아니라 한국기독교를 알고 싶어하는 시민 모두에게 열린 공간으로서 공공성을 지켜나가도록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한국기독교역사문화관은 한국기독교 선교 140년 역사가 담긴 유물과 자료르 전시한다. 사진 한국기독교역사문화관
개관 전시에서는 한국기독교의 140년 역사를 만날 수 있다. 한국기독교역사문화관 손승호 사무국장은 “개화기 초기 선교사들이 가져왔던 성경과 자료들을 비롯해 일제 강점기 때 무궁화 자수로 만든 한반도 지도와 한국전쟁 때 대거 발생한 고아들을 돌보았던 아동복지기관의 역사, 독일 분단 시절 베를린 장벽에 설치된 철조망 조각과 태안 기름 유출 사고 때 한국 교회의 봉사 활동 자료 등을 만날 수 있다”고 말했다.
안교성 초대관장은 “그동안 기독교 역사박물관은 교단별로, 혹은 지역별로 운영돼 왔다. 한국기독교 전체를 총괄하는 역사관이 없었다”며 “한국기독교역사문화관 출범을 계기로 한국기독교계의 통합과 일치에도 큰 도움이 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실제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NCCK)에서도 보관 중이던 기독교 역사 유물을 기증하기도 했다.

의료 선교를 했던 여의사 로제타 홀이 1906년 제물포에서 쓴 엽서. 사진 한국기독교역사문화관


초기 선교사가 한글로 번역한 구약성경. 사진 한국기독교역사문화관

일제 강점기 때 나라꽃인 무궁화로 한반도의 모습을 그려넣은 자수 작품. 사진 한국기독교역사문화관
한국기독교역사문화재단 한기채 부이사장은 “기독교 역사와 문화의 정립을 위해서 다른 기독교 역사 박물관과도 연계해서 여러 기획 전시를 열 수 있도록 네트워킹을 강화하겠다”고 했다. 손달익 이사는 “주변에 한옥박물관 등 은평구의 여러 박물관이 있어서, 한국기독교역사문화관과 함께 박물관 순례 코스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