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민간이 우주 개발 주도”…항우연, 한화에어로에 기술이전[팩플]
-
6회 연결
본문
미국 스페이스X처럼 민간 기업이 우주 개발을 주도하는 ‘뉴 스페이스(new space)’ 시대가 성큼 다가왔다. 공공에서 민간으로 우주 발사체 기술의 ‘배턴 터치’가 이뤄지면서다.

이상철 한국항공우주연구원장(왼쪽부터), 윤영빈 우주항공청장, 손재일 한화에어로스페이스 대표가 25일 대전 항우연 본원에서 열린 누리호 개발 기술 이전 계약 체결식에 참석해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무슨 일이야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은 25일 독자 개발한 우주 발사체 ‘누리호’ 전주기 기술을 한화에어로스페이스에 이전하는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항우연이 누리호의 설계와 제작, 발사 운영 등 발사체 개발 전 주기 기술을 민간 기업에 통째로 이전하는 건 이번이 처음이다. 이전되는 기술 문서만 1만 6050건에 달한다.
누리호 개발에는 국비 약 2조 원이 투입됐지만, 이번 기술이전료는 양측이 240억 원으로 합의했다. 이전 대상 기술 개발에 직접 투입된 연구·개발비가 기준이 됐다. 이번 계약은 양측의 기술이전료에 대한 의견 차이로 한화에어로가 기술 이전 우선협상자로 선정된 지 약 2년 10개월 만에 체결됐다. 한화에어로는 2032년까지 누리호 제작을 주도할 수 있는 통상 실시권을 확보하게 됐다. 2032년은 한국형 차세대 발사체 개발 목표 시점이다.
이게 왜 중요해
미국 등 우주 강국은 이미 민간 기업이 우주 산업을 주도하며 혁신적인 기술을 선보이고 있다. 일론 머스크 최고경영자(CEO)가 이끄는 스페이스X가 쏘아 올린 발사체를 로봇 팔로 회수하는 재사용 발사체 기술 개발에 성공한 게 대표적이다. 지난해 5월 출범한 우주항공청의 핵심 목표도 이 같은 흐름에 발맞춰 민간 기업이 우주 개발을 주도하는 ‘뉴 스페이스’ 시대를 여는 것이었다.
이번 계약 체결로 한국형 ‘스페이스X’ 육성의 첫걸음을 뗐다는 평가가 나온다. 정부출연연구기관인 항우연은 2010년부터 누리호 개발과 발사를 주도해왔다. 2023년 5월 3차 발사에서 인공위성을 우주로 보내는 ‘실전 발사’에 성공하면서 한국을 세계 7대 우주 강국 반열에 올려놨다. 민간 기업인 한화에어로는 배턴을 이어 받아 올해 11월로 예정된 4차 발사부터 2027년까지 이어지는 5차·6차 발사까지 누리호 사업의 사령탑을 맡게 된다.
윤영빈 우주항공청장은 “이번 계약 체결은 민간 중심의 우주 시대를 여는 중요한 첫걸음”이라며 “앞으로도 제도적, 재정적 지원을 아끼지 않고 대한민국 우주 산업이 세계적 수준으로 성장할 수 있게 적극 뒷받침하겠다”고 밝혔다.

오는 11월 4차 발사 예정인 한국형발사체 누리호 4호기 단 조립 현장. 사진 우주항공청
앞으로는
한화는 이번 기술 이전을 바탕으로 민간 주도 우주 산업 생태계 기반을 마련하고 ‘우주 수송 서비스-위성체-위성 서비스’로 연결되는 우주 사업 가치사슬을 구축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손재일 한화에어로 대표는 “이번 기술 이전을 바탕으로 누리호의 기술·비용 경쟁력을 지속 향상해 상업 발사 서비스를 위한 기반을 마련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화에어로는 사업성 확보라는 과제도 안게 됐다. 우주항공 업계 한 관계자는 “누리호의 페이로드(탑재 가능 무게) 당 단가는 스페이스X 재사용 발사체 ‘팰컨9’의 10배 수준”이라며 “민간 수요를 창출하고 시장성을 확보하는 게 난제”라고 말했다.
더중앙플러스 : 팩플
스타링크는 이미 전 세계 114개국에서 500만 명 이상이 이용 중이며, 곧 한국 출시를 앞두고 있다. 스타링크의 가치는 희토류 못지않다는 평가. 외신은 “우크라이나가 스타링크를 잃는다면 전쟁 판도가 달라질 수 있다”고 보도했다. 폐허가 된 땅에서, 위성을 통한 인터넷 연결은 희귀 광물급 자원인 것. 인류사에 남을 몽상가 혹은 혁신가로 꼽히는 일론 머스크의 가장 큰 족적은 어쩌면 테슬라도 화성 정복도 아닌, 스타링크 그 자체일지 모른다는 평가도 나온다. 그런 그의 ‘큰 한 방’, 미리 보는 스타링크 ‘인 코리아(in Korea)’부터 우주 저궤도 비즈니스가 바꿀 미래까지, 모두 눌러 담았다.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16115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