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대출규제 이후 아파트 하락거래 확산...9억원 이하 거래 비중도 확대
-
3회 연결
본문

수도권 주택담보대출을 6억원 한도로 제한하는 6·27 대책이 발표된 이후 6주 만에 서울 아파트값이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사진은 10일 서울 중구 남산에서 바라본 시내 아파트 단지. 뉴스1
6·27 대출 규제 이후 전국적으로 아파트값을 이전보다 낮춰 거래하는 비중이 늘었다.
11일 부동산 플랫폼 직방이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지난달 전국 아파트 하락 거래 비중은 38.4%에서 41.8%로 3.4%포인트 증가했다. 바로 직전 실거래가보다 낮은 가격에 아파트를 사고파는 비율이 그만큼 늘었다는 의미다. 상승 거래 비중은 44.4%로 전월(46.5%) 대비 2.1%포인트 하락했다. 상승 거래는 줄고 하락 거래는 늘어나는 흐름이 뚜렷했다.
특히 수도권의 경우 하락 거래 비중이 6월 35.1%에서 지난달 39.2%로 4.1%포인트 확대했다. 서울은 같은 기간 30.4%에서 34.0%로 증가했고, 경기도는 37.1%에서 40.6%로 늘었다. 다만 지방의 지난달 하락 거래 비중은 한 달 전보다 0.4%포인트 증가한 43.5%로 변동 폭이 미미했다.
직방은 “수도권 중심의 거래 위축이 지속하면 일부 지역에서는 가격 조정이나 매매가 하향 흐름이 더욱 뚜렷해질 수 있다”며 “다만 공급에 대한 불안 심리가 여전히 자리 잡고 있다는 점에서 관망세가 이어지더라도 실제 가격 조정 폭은 제한적일 수 있다는 시각도 존재한다”고 설명했다.
한편 6·27 규제 이후 대출 한도(6억원)에 걸리지 않는 저가 아파트 위주로 매수가 이뤄지고 있는 흐름도 확인됐다. 국토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대출 규제 이후 지난 10일까지 43일(6월 28∼8월 10일)간 신고된 서울 아파트 거래 4146건 중 9억원 이하 거래가 49.5%(2052건)를 차지한 것으로 조사됐다. 대출 규제 직전 43일(5월 16일∼6월 27일) 동안 신고된 1만4528건 가운데 9억원 이하 거래가 37.7%(5473건)였던 것과 비교해 비중이 11.8%포인트나 확대했다.
특히 6억원 이하 아파트 거래 비중은 대출 규제 전 14.7%에서 22.8%로 8.1%포인트가 늘었다. 반면 9억원 초과∼15억원 이하 비중은 대출 규제 전 34.7%에서 대출 규제 뒤 28.6%로 6.1%포인트 비중이 축소됐다.
주택담보대출 한도를 6억원으로 제한한 6·27 대책의 영향으로 풀이된다. 현재 서울 강남 3구(강남·서초·송파구)과 용산구 등 규제지역을 제외한 나머지 지역은 담보인정비율(LTV)이 70%인데, 대출을 최대인 6억원을 받는다면 집값 상한이 9억원 선이라서다. 지난달부터 3단계 스트레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이 시행되면서 소득 대비 대출 한도가 감소한 것도 저가 아파트 위주로 거래되는 데 영향을 미쳤다.
다만 30억원 초과 초고가 아파트 거래 비중은 대출 규제 전 4.6%에서 6.2%로 오히려 확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초고가 아파트 매수가 가능한 현금 부자들은 상대적으로 대출 규제 영향을 크게 받지 않기 때문이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