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 “골프를 즐기고 싶어요” 행복 찾아 떠난 천재소녀
-
4회 연결
본문

이정현
13살이던 2019년, 이정현(19)은 역대 최연소로 여자 아마추어 골프 메이저대회(송암배)에서 우승했다. 2020년에는 한국여자아마추어선수권을 제패하며 최연소 국가대표가 됐다. ‘골프 여제’ 안니카 소렌스탐을 뒤이을 듯한 기세의 그는 어느 순간 골프계에서 자취를 감췄다. 최근 그를 서울 노들섬에서 만나 근황을 들었다.
이정현은 사실 장타자이면서 쇼트게임도 완벽했다. 새벽에 모래사장을 달렸고 아침·저녁으로 줄넘기 1000개씩 할 만큼 의지도 굳었다. 주변에서 “(정현이 아버지는) 한국 골프 대디 중 가장 헌신적”이라고 평가할 정도였다. 그는 “365일, 24시간 내내 아빠와 붙어 지냈다. 뉴질랜드에서 1년여간 훈련할 때는 아침·저녁 식사를 챙겨주셨고, 학교에 데려다주셨다. 그런데 나중에야 알았다. 영어 한마디 못하던 아빠는 그곳에서 공황장애까지 겪으셨더라”라고 전했다.
이정현은 “중학교 2학년 때 국가대표가 된 뒤로 압박감을 느끼기 시작했다”고 돌이켰다. 고교 2학년 때 가장 힘들었다. 프로대회에서도 중상위권이던 그는 그 무렵 아마 대회에서도 컷을 통과하지 못했다. 어린 시절 우승컵이란 게, 해가 떴을 때는 빛나지만, 비바람이 몰아치면 무거운 짐이다. 자신보다 못했던 동료의 성장세를 보며, 제자리걸음인 자신을 자책하게 된다. 과도한 조기 성취, ‘오버페이스’의 그림자다. 그는 “나를 도와준 분들께 보답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특히 아버지는 저만을 위해 살았던 분이었으니까”라고 말했다. 소아 심리학자들에 따르면, 똑똑한 아이일수록 부모를 기쁘게 하려는 욕구가 강하다.
지난해 8월, 이정현은 홀로서기를 시작했다. 미국 텍사스주 베일러대에 입학했다. 가장 달라진 건 골프에 대한 마음가짐이다. 그는 “전에는 재미있으면 안 된다고 생각했다. 고통 속에서 버텨야 남보다 잘할 수 있다고 믿었다”며 “어느 순간 ‘나는 누구인가’라는 의문이 생겼고, 골프는 남이 아니라 내 행복을 위해 즐기며 치는 게 중요하다는 걸 깨달았다”고 말했다. 불안은 아직 남았다. 다만 받아들이되 집착하지 않으려고 한다. 그는 “골프 말고는 아무것도 없다고 생각했는데, 지금은 다른 일을 하며 힐링한다. 공부도 하고, 춤도 추고, 여행도 다녔다”며 “오늘 한강을 처음 봤는데, 마음을 풀어놓으니 기분이 좋다”고 말했다.
올해 이정현은 UCLA로 대학을 옮긴다. 로스앤젤레스에는 한국계 코치와 한국 음식이 있고, 손흥민까지 왔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