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전국 무주택가구 1000만 육박…서울 51.7%가 전월세살이
-
3회 연결
본문
힘들어지는 내 집 마련
내 집이 없어 전·월세를 살고 있는 가구가 전국적으로 1000만에 육박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서울 지역의 무주택 가구 비중은 51.7%로, 17개 시도 중 유일하게 50%를 넘어섰다.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 주택소유통계에 따르면 2023년 기준 전국 무주택가구는 961만8474가구에 달한다. 전년보다 약 7만7000가구가 늘어난 것으로 전체 가구(2207만 가구)의 43.6% 수준이다. 지역별로는 서울·경기·인천 등 수도권의 무주택 가구 수가 506만804가구로 전체의 절반이 넘는다. 경기 지역이 238만2950가구로 17개 시도 중 가장 많았고 서울이 214만3249가구로 뒤를 이었다. 특히 서울은 2021년 51.2%였던 무주택가구 비율이 2022년 51.4%를 기록한 뒤 2023년까지 2년 연속 상승했다.
서울의 높은 집값은 전·월세 가격 상승으로 이어지고 있다. 결국 높은 집값과 고강도 대출 규제로 내 집 마련 계획을 미룬 서민들이 높은 주거비 부담을 짊어져야 한다는 뜻이다.
17일 대법원 등기정보광장에 따르면 올해 7월까지 전국적으로 확정일자를 받은 주택 임대차 계약 가운데 월세를 낀 계약은 105만6898건으로 이미 100만 건을 넘어섰다.
올해 들어서는 주택 임대차 시장에서 월세 전환이 더욱 빨라지며 거래량이 더 빠르게 늘고 있다.
전국적으로 월세가 낀 계약 비중은 ▶2020년 40.7% ▶2021년 42.5% ▶2022년 51.0% ▶2023년 55.0% ▶지난해 57.3%에 이어 올해 61.9%를 기록해 처음으로 60%대에 진입했다. 반면 전국 전세 비중은 ▶2020년 59.3% ▶2021년 57.5% ▶2022년 49.0% ▶2023년 45.0% ▶지난해 42.7%에 이어 올해 38.1%를 나타내면서 30%대로 처음 떨어졌다. 특히 올해 서울에서는 월세와 전세의 비중이 각각 64.1%, 35.9%로 격차가 더 벌어져 있다.
박원갑 KB국민은행 수석부동산전문위원은 “지금은 전세에서 월세로 넘어가는 과도기로, 전세대출을 조일수록 월세화 속도는 더 빨라질 것”이라며 “급여가 나오는 젊은이의 월세살이는 견딜 만하지만, 은퇴자가 많은 고령 취약 계층에게 임대료를 지원하는 등 월세시대 맞춤형 주거복지 대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월세 낀 거래의 급증은 2020년 7월 말 계약갱신청구권제와 전·월세상한제를 골자로 한 새 임대차법이 시행된 이후 전셋값 급등세가 이어지면서다. 이를 감당하지 못한 세입자들이 월세 시장으로 대거 유입된 것으로 풀이된다. 특히 수도권의 경우 6·27 대출 규제로 전세 매물이 급감하며 월세화가 더 빨라지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여기에 전세와 월세의 가격이 동반 상승하며 세입자들의 부담을 키우고 있다.
한국부동산원 통계 기준으로 서울 아파트의 전세가격지수는 2023년 5월(91.3)부터 지난 6월(100.6)까지, 월세통합가격지수는 2023년 7월(95.9)부터 올해 6월(100.6)까지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