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60∼64세 절반 이상 연금소득 ‘제로’…소득 공백 심화

본문

17560991597332.jpg

서울 서대문구 국민연금공단 서울북부지역본부 상담센터 모습. 연합뉴스

65세 이상 연금 수급자의 월평균 연금액이 70만원에 근접했지만, 정년퇴직 후 연금 수령 연령에 도달하지 못한 60∼64세의 절반 이상은 연금소득이 전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이 25일 발표한 ‘2023년 연금통계 결과’에 따르면 65세 이상 인구의 연금 수급률은 90.9%로, 수급자 3명 중 1명이 월 50만∼100만원을 받고 있었다. 전체 수급자의 월평균 연금액은 69만5000원으로 전년 대비 6.9% 상승했다.

연금 종류별로는 기초연금 수급자가 646만1000명으로 가장 많았고, 국민연금 수급자는 476만명으로 집계됐다. 기초연금은 월평균 29만2000원, 국민연금은 45만2000원을 수령했다.

60∼64세, 연금 수급률 42.7% 불과

정년 이후 소득은 끊겼지만 연금은 시작되지 않는 ‘소득 크레바스’ 구간에 해당하는 60∼64세의 연금 수급률은 42.7%에 그쳤다. 절반 이상이 연금소득이 전혀 없는 셈이다.

이 연령대의 월평균 연금 수급액은 100만4000원이었으며, 60∼62세 수급률은 24.8%에 불과했지만, 연금 개시 연령에 접어드는 63∼64세는 69.9%로 크게 높아졌다.

수급 금액 구간별로는 25만∼50만원대(29.8%)와 50만∼100만원대(29.4%)가 가장 많았다. 등록취업자의 월평균 수급액은 97만2000원, 미등록자는 104만7000원으로 나타났다.

연금 가입률은 상승세

청장년층(18∼59세)의 연금 가입률은 81%로, 전년보다 0.8%포인트 올랐다. 2개 이상 중복 가입률은 33.1%, 월평균 보험료는 34만4000원이었다.

특히 등록취업자의 가입률은 95.1%에 달했고, 이들의 월평균 보험료는 39만4000원으로 조사됐다. 반면 미등록자는 가입률이 52.5%에 불과했고, 보험료도 16만1000원에 그쳤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3,307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