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내달 22일 독감 예방접종 시작...‘3가 백신’으로 바뀐 까닭은

본문

17561028238668.jpg

한 병원에서 어린이가 독감 예방접종을 받는 모습. 뉴스1

내달 말 어린이, 임신부, 65세 이상 노인 대상 인플루엔자(독감) 무료 예방접종이 시작된다. 질병관리청은 9월 22일부터 내년 4월 30일까지 2025~2026절기 독감 국가예방접종을 시작할 계획이라고 25일 밝혔다.

이번 접종은 다가오는 겨울 독감 유행에 대비해 감염 시 중증화 위험이 큰 6개월 ~ 13세(2012년 1월1일~2025년8월31일 출생자) 어린이, 임신부, 65세 이상(1960년 12월 31일 이전 출생자)을 대상으로 무료로 실시된다.

가장 먼저 9월 22일 2회 접종 대상 어린이부터 접종이 시작된다. 2회 접종 대상은 과거 독감 백신을 접종한 적이 없거나 이전에 1회만 접종한 생후 6개월 이상 9세 미만 어린이다. 일주일 뒤인 9월 29일은 그 외 어린이와 임신부, 10월 15일에는 75세 이상 노인부터 연령대별 순차적으로 인플루엔자 국가예방접종이 시행된다. 국가예방접종 지원대상이 아닌 경우에는 가까운 인플루엔자 예방접종 시행 의료기관에서 유료로 접종하면 된다.

17561028241008.jpg

질병관리청

이번 절기 독감 국가예방접종은 세계보건기구(WHO)의 권고사항과 예방접종전문위원회 심의에 따라 기존 4가 백신에서 3가 백신으로 전환해 시행된다. 4가 백신은 A형(H1N1, H3N2) B형(빅토리아, 야마가타) 총 4종 바이러스에 대한 항원을 담은 백신이다. 이번에 접종하는 3가 백신은 기존 4가 백신에서, B형 야마가타 바이러스 항원을 제외한 백신이다.

질병청은 “B형 야마가타 바이러스는 전 세계적으로 최근 몇년간 검출되지 않았다”라며 “효과성과 안전성 면에서 4가 백신과 차이가 없다”라고 설명했다. 질병청에 따르면 미국은 지난 2024~2025절기에 3가로 전환했고, 일본ㆍ대만ㆍ영국은 이번 절기부터 전환할 예정이다.

독감 국가예방접종은 주소지와 관계없이 가까운 위탁의료기관(병ㆍ의원)이나 보건소에서 가능하다. 전국 위탁의료기관은 약 2만3000곳으로 관할 보건소나 질병청 예방접종도우미 웹사이트에서 가까운 위탁의료기관을 확인할 수 있다.

접종 대상자를 사전에 확인해 오접종을 예방하고 안전한 접종을 위해 접종 기관 방문 시에는 신분증을 지참해야 한다. 어린이는 주민등록등본, 국민건강보험증 등으로, 임신부는 산모 수첩 등으로 대체 가능하다. 접종 후에는 20~30분간 접종기관에 머물러 이상반응을 관찰한 후 귀가하고 충분한 휴식을 취해야 한다.

독감 백신을 맞더라도 감염을 100% 예방할 수는 없다. 질병청은 “접종 후 약 2주가 지나면 방어 항체가 형성되는데 건강한 성인은 접종으로 70~90% 예방효과를 얻는다고 알려져있다”라며 “효과는 백신과 유행 바이러스의 일치 정도, 개인 면역 등에 따라 차이가 있다”라고 설명했다. 이어 “백신은 감염 예방 이외에도 중증과 사망 위험을 낮추기 때문에 매우 중요하다”라고 덧붙였다.

임승관 질병청장은 “예방접종은 어린이, 임신부, 어르신 모두에게 인플루엔자로 인한 입원과 사망을 줄이고 질병 부담을 낮추는데 매우 효과적인 수단”이라며, “국가예방접종 대상인 6개월~13세 어린이, 임신부, 65세 이상 어르신께서는 올겨울 유행에 대비해 인플루엔자 예방접종을 꼭 받아달라”고 당부했다.

17561028243363.jpg

질병관리청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3,307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