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폭행으로 감옥 갔는데 "왕의 귀환"…'부산통&…
-
2회 연결
본문
“그래 위사모(위○○을 사랑하는 모임)들 잘 지냈나? (유튜브 등 방송) 복귀는 한 2, 3주 지나야 하지 않겠나.” 지난 2일 A씨 유튜브 채널에서 부산 폭력조직 출신 위모(38)씨의 목소리가 나오자 시청자들이 열광했다. 라이브방송 도중 A씨가 갓 출소한 위씨와 통화한 것이다.

부산 폭력조직 출신 위씨가 2022년 1월 본인 유튜브 채널에 올렸던 영상. 사진 위씨 유튜브 캡쳐
위씨 목소리에 “왕의 귀환”, “우상입니다” 등 시청자 반응이 쏟아졌다. 위씨는 A씨에게 “내 없는 사이에 니가 안 좋은 일이 마이 생깄다던데, 내가 정리할게”라며 건재함을 과시하듯 너스레를 떨기도 했다.
조폭 출신 ‘부산통’ 출소에 유튜브 ‘술렁’
25일 유튜브, 팝콘티비 등 온라인 방송 플랫폼에서 이른바 ‘조폭 콘텐트’를 주력으로 하는 스트리머(인터넷 방송인) 반응을 종합하면 위씨 출소에 이들 방송판 분위기가 술렁인다. 수감되기 전 위씨의 개인방송 활동과 논란, 주변 유튜버와의 관계 등을 요약하거나 그의 방송 복귀 시점·플랫폼을 예측한 게시물 중엔 30만~60만건의 높은 조회 수를 기록한 것도 다수다. 이에 “위씨를 방송에 모시겠다”며 러브콜을 보내는 게시물도 눈에 띈다.
부산 출신인 위씨는 학창시절 야구선수로 활약했다. 또래와 비교해 압도적인 키·몸집을 앞세워 초등학생 때 시속 130㎞가 넘는 강속구를 뿌렸다. 부산 지역 야구 명문고에서 에이스로 뛰는 등 주목받았다. 특이한 이름도 그의 유명세에 한몫했다. 2000년대 부산에서 중·고교를 다닌 학생들 사이에선 ‘부산통’, ‘부산대장’ 등으로 불렸다.

위씨가 2022년 5월 라이브방송 도중 지나가던 여성을 다리에 앉혀놓고 방송하고 있다. 사진 유튜브 캡쳐
위씨는 2007년 프로구단에 입단했지만, 과거 ‘퍽치기’ 범죄 전력 논란이 일어 야구를 접었다. 이후 그는 부산 지역 양대 조직으로 불리는 폭력조직에서도 활동했다. 유튜브에서 ‘조폭 콘텐트’가 관심을 받자 자신의 이름을 딴 채널도 만들었다. 다른 유튜버와의 스파링이나 ‘실전 싸움 강의’ 등을 주력 콘텐트로 삼는 채널로 현재 구독자 수는 12만4000명에 달한다.
그가 최근 수감된 것도 유튜브 방송에서 비롯됐다. 2022년 5~7월 라이브방송 도중 지나가던 여성을 자신의 다리에 앉혀 성희롱하고, 후배를 폭행한 혐의로 기소돼 2년 10개월의 실형을 선고받았다. 그해 초 ‘이제 주먹은 쓰지 않겠습니다’라는 영상을 채널에 올리고 얼마 되지 않아 벌어진 사건이다.
경찰, 복귀 예의주시…“범죄 예방 방점”
경찰은 조폭 출신 스트리머에 의한 사건이 잇따르자 2023년 하반기부터 ‘조폭 콘텐트’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했다. 부산경찰청도 범죄 예방을 위해 부산을 기반으로 활동하는 유튜버 등 10명의 채널을 모니터링하고 있다.

위씨 유튜브 채널에 올라와있는 스파링 영상. 사진 위씨 유튜브 캡쳐
경찰에 따르면 팝콘티비에서 라이브 방송 등을 진행하고 이를 편집 축약한 영상을 유튜브에 올리는 구조가 일반적이다. 화제의 인물 등이 출연해 자극적인 소재의 합방(합동방송) 등을 진행하면 단기간에 시청자로부터 수백만원대 후원을 받을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구독자 수가 10만명이 넘는 위씨 채널도 감시 대상에 포함된다. 위씨도 경찰이 주시하는 점을 알고 있으며, 출소 후 한 달이 지나도록 A씨와 통화한 것 외에는 방송에 모습을 드러낸 적이 없었다고 한다.
경찰 관계자는 “과거에도 전과가 많은 이른바 ‘거물’이 출소하면 범죄 동향 등을 살폈다. 위씨의 경우 방송 중 일어난 사건으로 수감됐다”며 “그가 출소한 후 과거 가깝게 지내던 스트리머들과 방송하고, 이 과정에서 또 비슷한 범죄가 일어날 가능성을 차단하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부산경찰청 전경. 사진 부산경찰청
조영일 동국대 경찰행정학과 교수는 위씨 출소에 온라인 방송계가 달아오르는 상황과 관련해 “결국 후원 등 돈 때문으로 보인다”며 “이른바 조폭 콘텐트를 다루는 채널에선 라이브방송 도중 시청자를 강하게 의식하고, 이게 다시 범죄로 이어지는 악순환이 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조 교수는 이어 “문제는 현행법상 이런 콘텐트를 원천 차단하기 어렵다는 점”이라며 “최소한 청소년 노출 방지를 위해 ‘19금’, ‘15금’ 등 기존 미디어에서 익숙한 등급제 제한 등으로 접근하는 방안이 필요해 보인다”고 말했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