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관세엔 ‘약’도 없다…모디·시진핑, 두 앙숙조차 “바이오 협력”

본문

제약·바이오 동맹 새 변수

17561351102903.jpg

모디, 시진핑(왼쪽부터)

미국 트럼프 정부의 관세 폭탄이 글로벌 제약·바이오 동맹의 새로운 변수로 떠오르고 있다. 의약품 관련 세부 관세율 발표를 앞둔 가운데 주요 국은 미국 의존도를 낮추기 위한 새로운 연합을 강화하고 나섰다.

5년간 관계가 얼어붙었던 중국과 인도가 의약품 분야 협력 의지를 보이는 등 글로벌 제약·바이오 시장 공급망에 변화 조짐이 일고 있다.

글로벌 제약·바이오 시장의 큰손으로 꼽히는 중국과 인도는 원료의약품(API) 시장에서 1~2위를 다투고 있다. 특히 인도는 미국 다음으로 미국 식품의약국(FDA) 의약품 인증을 많이 확보한 나라로 글로벌 제네릭(복제약) 시장의 20%를 차지하는 ‘세계의 약국’이다.

한국바이오협회에 따르면 지난 19일(현지시간) 인도 외무부는 중국과 의약품, 희토류 등의 무역·투자를 촉진하기 위한 전문가 태스크포스(TF)를 구성했다.

이와 더불어 20일 중국 외교부는 인도와 5년 만에 양국 국경 무역 재개에 합의했다고 밝혔다.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는 오는 31일 열리는 중국 상하이협력기구(SCO) 정상회의에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을 만날 계획이다. 인도 총리의 방중은 약 7년 만이다.

경색됐던 양국 관계가 전환을 맞게 된 것은 미국의 관세 정책 때문이다. 중국과 인도는 지난 2020년 접경 지역인 히말라야 라다크에서 발생한 무력 이후 사실상 외교 관계를 단절해왔다. 하지만 미국의 보호무역 기조와 중국 봉쇄 전략으로 불안감을 느낀 양국이 새로운 연대를 통해 위기 돌파를 시도하는 모양새다.

앞서 미국은 인도에 상호관세 25%를 부과했으며, 러시아산 원유 수입을 이유로 오는 27일부터 25%의 추가 관세를 부과하기로 했다. 미국은 인도의 최대 의약품 수출국으로 전체 수출액의 30% 이상 차지하고 있다. 하지만 관세 부담이 커지며 의약품 위탁생산(OEM)을 맡겼던 글로벌 기업과의 거래도 위태해졌다. 인도가 라이벌 중국과 협력을 모색하게 된 이유다.

이승규 한국바이오협회 부회장은 “세계 최대 제네릭 의약품 수출국(인도)과 원료의약품 수출국(중국)의 긴밀한 협업이 예상된다”며 “양국의 의약품 제조 비용이 낮아지고 공급망이 강화할 전망”이라고 내다봤다.

미 정부로부터 의약품 관세 상한 15%를 보장 받은 유럽연합(EU)도 시장 다변화에 대한 고민이 크다. 예외 조항은 언제든 철회될 수 있다는 점에 대비해야 하기 때문. EU는 의약품 산업의 전략적 육성을 위해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등을 중심으로 핵심 의약품 100여 종의 자국 생산 확대 계획을 수립하는 등 경쟁력 강화에 집중하고 있다.

미국은 글로벌 제약·바이오 업계에서 단일 국가로 가장 규모가 큰 시장이다. 지난해 미국의 의약품 수입 규모는 약 2126억 달러다. 아일랜드(503억2000만 달러), 스위스(190억 달러), 독일(172억1000만 달러) 등 EU 국가가 대미 수출 상위권을 차지하고 있다.

한국도 지난해 미국에 14억9000만 달러(약 2조688억원) 규모의 의약품을 수출했다.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의약품 수입 관련 국가 안보 조사 결과에 따라 1년~1년 6개월 후 최대 250%의 관세를 부과할 수 있다고 언급한 바 있다.

바이오업계 관계자는 “미국 관세 부과를 계기로 각국이 원료의약품의 해외 의존도를 낮추고 필수 의약품 생산을 확대하려는 등 의약품 공급망 재편을 고민하게 됐다”며 “미국 내 현지 생산체계 구축 등 관세 대응 노력 외에 수출국 다변화를 통해 미국 의존도를 낮추기 위한 노력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3,360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