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열병식·경축대회 내내 김정은 오른쪽엔 중국 2인자 리창

본문

btf1657d9b2aa1f334fcf4ec8a9a807ae1.jpg

리창 중국 총리,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또 럼 베트남 서기장, 드미트리 메드베데프 러시아 국가안보회의 부의장(왼쪽부터)이 지난 10일 평양 열병식을 관람하고 있다. [조선중앙TV=뉴시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오른쪽 자리는 내내 리창(李强) 중국 총리 차지였다. 지난 10일 심야에 열린 노동당 창건 80주년 기념 열병식과 전날 경축대회 이야기다. 지난달 베이징에서 열린 열병식과 마찬가지로 북·중·러가 나란히 서 ‘반미 연대’를 부각한 가운데 의전 등에서 김정은이 러시아보다 중국을 더 각별히 챙기는 모습이 두드러졌다. 우크라이나전 파병이라는 과감한 도박에 성공, 러시아를 뒷배로 확보한 김정은이 이제는 전통적인 북·중 혈맹을 복원해 ‘전략적 몸값’을 최대한 끌어올리려는 노림수로 읽힌다.

북한은 지난 9일 밤 경축대회 주석단과 10일 열병식에서 김정은을 중심으로 오른쪽에는 중국 권력 서열 2위로 꼽히는 리창, 왼쪽에 또 럼 베트남 서기장이 서도록 좌석을 배치했다. 사실상 러시아 2인자인 드미트리 메드베데프 집권 통일러시아당 의장 겸 국가안보회의 부의장의 자리는 또 럼의 좌측이었다.

통상 주최자의 오른편엔 의전 서열이 가장 높은 이가 서도록 한다. 참석 외빈 중 가장 의전 서열이 높은 건 베트남 국가원수인 또 럼이었지만, 김정은은 리창에게 그 자리를 내줬다. 지난 9일 북한에 입국할 때도 리창이 이끄는 중국 대표단은 박태성 내각 총리가 직접 공항에서 영접했다.

관련기사

  • 북 “최강 핵무기” 화성 20형 공개…극초음속미사일도 내놨다

  • [사진] 북, 새 ICBM 화성-20형 공개 ‘대미 위협’

이는 지난해 5월 서울에서 열린 한·일·중 정상회의와는 대비되는 장면이다. 당시 윤석열 대통령, 기시다 후미오(岸田文雄) 일본 총리와 리창이 참석한 정상회의 공동선언에 “한반도 비핵화”라는 표현이 포함되자 북한은 정찰위성을 발사하며 반발했다.

하지만 불과 1년4개월여 만에 리창은 김정은 바로 옆자리에서 핵탄두를 장착할 수 있는 전략무기가 대거 등장하는 열병식을 관람했다. 중국과 러시아의 고위 당국자 면전에서 핵무기를 공개한 건 핵보유국으로 사실상 인정받았다는 김정은의 자신감 표명으로 볼 수 있다.

특히 김정은은 연설에서 “우리 군대의 전투 정신이 조국보위방선에서만이 아니라… 보람찬 전구들에서도 계속 과감히 떨쳐질 것이라고 확신한다”고 말했다. 이는 인민군의 작전 지역을 한반도로 국한하지 않겠다는 뜻으로, 대만해협 등에 유사시 관여할 수 있다고 가능성을 열어둔 것이다. 한·미·일 안보 협력이 강화되는 데 따라 북·중·러의 영향력도 키우자는 김정은의 속내를 드러낸 것일 수 있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2,254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