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개미 불만 폭발에…김용범 "배당소득 분리과세, 조정 가능성"

본문

bt44b6773c63d0e7710778a8ae4ceaa869.jpg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이 지난 1일 용산 대통령실에서 브리핑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이 15일 정부가 추진하는 ‘배당소득 분리과세 제도’ 도입과 관련해 “(세율에 대해) 일부 조정 가능성이 있다”고 언급했다.

김 실장은 이날 공개된 유튜브 채널 삼프로TV 인터뷰에서 “(정부 세제개편안에 담긴 최고 구간 세율 35%를) 25% 정도로 낮춰야 배당을 할 것 아니냐는 의견도 일리가 있다”며 이 같이 말했다. 인터뷰는 14일 녹화됐다.

이미 정부가 주식 양도소득세 부과 대주주 기준 강화안(50억→10억원)을 철회한 데 이어 두 번째 ‘주식 세제 유턴’ 가능성을 시사한 것이다.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도 전날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국정감사에서 “(배당소득 분리과세 제도를) 제로베이스에서 가장 국익에 도움이 되고 배당도 촉진할 수 있는 방안을 토론하고 국회와도 논의해 방향을 잡아나가도록 하겠다”며 원점 재검토 방침을 밝혔다.

김 실장의 이런 대답은 김동환 삼프로TV 의장이 “일각에서는 대통령 취임 이후 자본시장에 대한 입장이 재정 관련해서 다소 약화된 것 아니냐는 의구심도 있다. 대주주 자격 요건 논의가 오래 걸렸고, 배당 분리과세 세율을 보며 투자자들이 의문을 가진다”고 묻는 과정에서 나왔다. 김 실장은 “(이 대통령은) 부동산에 과도하게 쏠려 있는 자금을 생산적 부문, 특히 자본시장으로 돌리겠다는 의지가 매우 강하다”며 “배당에 대해서는 정부의 최종 입장이 세법 논의 과정에서 더 정리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최고 구간 세율 35%가 충분히 매력적이지 않다는 의견도 있다”며 “배당 관련 부분은 여야 의원님들이 전향적으로 논의해 주신다면 일부 조정 가능성이 있다”고 덧붙였다.

정부는 지난 7월 발표한 내년도 세제개편안에 배당소득 분리과세 제도 도입안을 포함했다. 금융소득(배당+이자)의 합이 2000만원을 초과했을 때 다른 소득과 합산해 최대 45%의 종합소득세를 매기지 않고, 별도로 분리해 낮은 세율을 적용하겠다는 내용이다. 하지만 최고세율이 예상보다 높은 35%(지방소득세 포함 38.5%)로 책정되자 개미 투자자의 반발이 커졌다. 그러자 여당에서도 세율 하향 요구가 이어졌다. 배당소득 분리과세 최고세율을 25%로 하는 소득세법 개정안을 발의한 이소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듣도 보도 못한 35%라는 세율은 도대체 어디서 나온 것이냐”고 비판했다.

김 실장은 부동산 공급과 관련해선 “(부동산)공급은 시간이 걸리지만 각오를 하고 해야 한다”며 “공급 전담 조직 신설도 논의 중”이라고 밝혔다. 보유세 등 부동산 세제에 대해선 “세제도 고민해야 한다. 보유세가 낮은 건 사실”이라며 “취득·보유·양도 세제 전반을 진지하게 검토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 의장이 “증세를 말씀하시는 거냐”고 되묻자 김 실장은 “‘부동산 세제의 정상화’다. 보유세는 강화하고 거래는 원활히 하는 방향이 있을 것”이라고 부연했다. 이재명 정부는 15일 규제지역을 대폭 확대하고 대출규제를 강화하는 것을 골자로 한 세번째 부동산 대책을 내놨지만, 세제 강화 방안은 일단 포함하지 않았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3,701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