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고용 나빠지는데 관세 역풍…연준 ‘금리 딜레마’ 깊어진다

본문

연말까지 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고용 둔화와 인플레이션(물가 상승) 사이에서 아슬아슬한 줄타기를 이어갈 전망이다. 얼어붙은 고용시장을 살리기 위해 기준금리를 인하해야 하지만, 관세 역풍으로 미국 기업들의 비용 부담이 현실화하고 있어서다.

Fed는 15일(현지시간) 공개한 경기 동향 보고서(베이지북)에서 “조사 기간 물가가 추가로 상승했다”며 “기업들은 관세 영향으로 원재료 수입비가 오른 데다 보험·의료 등 서비스 비용이 커지면서 생산비 부담이 커졌다”고 평가했다.

일부 기업은 늘어난 비용을 소비자 가격에 전가하고 있다. 보고서는 “가격 변화에 민감한 업종은 고객 반발을 의식해 소비자 가격을 변경하진 않았지만, 일부 제조·소매업은 수입비 상승분을 소비자에게 고스란히 전가했다”고 분석했다. 신규 채용은 둔화하고 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이 베이지북을 인용해 “경제 불확실성이 고조되면서 미국 대부분 지역의 기업은 신규 채용 의욕이 저조하다”고 밝혔다.

미국의 전반적 경제 활동 흐름은 한 달 전과 동일했다. 연방준비은행 관할 지역 12곳 중 3곳만 경제 활동이 소폭 활발해졌고, 4개 지역은 소폭 둔화했다. 나머지 지역의 경제 활동은 변화가 없었다. 베이지북은 Fed가 통화정책을 결정하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 2주 전에 내놓은 경기 진단 보고서로 금리 흐름을 예측할 수 있는 자료다.

이달 베이지북에선 들썩이는 물가와 둔화하는 노동시장, 경제 활동 정체 등 각종 신호가 혼재했다. 미국 투자 전문 매체 배런스는 15일 “상충한 신호들로 Fed는 균형 맞추기가 쉽지 않다”고 전했다.

미국 연방정부의 셧다운(업무 정지)으로 경제지표 발표가 잇따라 연기된 점도 변수다. Fed는 ‘깜깜이 지표’ 속에서 통화정책을 결정해야 하는 처지다. 그나마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예정일보다 9일 늦춰진 오는 24일 발표되는데, 오는 28~29일 열리는 FOMC의 금리 향방을 결정하는 ‘마지막 퍼즐’이 될 전망이다. 8월 CPI는 1년 전보다 2.9% 상승했다. 4월(2.3%) 이후 넉 달 연속 오름세다.

다만 시장은 이달 기준금리 인하를 기정사실로 받아들이는 분위기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Fed가 이달 0.25%포인트 기준금리를 인하할 확률은 한국시간 16일 오후 5시 기준 97.8%에 달했다. 이날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경제 참모 출신인 스티브 마이런 Fed 이사는 “최근 미·중 무역 갈등이 재점화하면서 Fed가 보다 공격적인 금리 인하에 나서야 한다”고 주장했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3,701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