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국가 미래가 흔들린다…2030 이공계 인재 62% "해외 이직 고려"

본문

젊은 이공계 인재의 약 3분의 2가 해외 이직을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과가 아닌 연공 중심의 보상 체계와 열악한 근무 환경이 이공계 전문가의 한국 탈출을 부추긴다는 지적이다.

20·30대 3분의 2가 “3년 내 해외 이직”

3일 한국은행은 ‘이공계 인재 해외 유출의 결정요인과 정책적 대응 방향’ 보고서에서 “향후 3년 내 외국 이직을 고려하고 있다”고 응답한 20·30대 국내 이공계 전문가가 62%(구체적 계획 수립 단계까지 포함)에 달한다고 밝혔다. 이는 한은이 국내 교육기관, 연구소·기업에서 근무하는 이공계 석·박사급 연구자 191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한 결과다.

bt0c864a1a201cbb8f44ee34543e24ae4d.jpg

김경진 기자

이직이 쉽지 않은 중년층까지 포함해, 전체 국내 연구자 중에서 한국을 떠나는 것을 고려 중이라고 밝힌 비중도 42.9%에 달했다. 젊은 층일수록 해외 이직을 고려하는 비중이 높았다. 구체적으로 응답자 중 20대는 72.4%, 30대는 61.1%, 40대는 44.3%로 나타났다.

조선·플랜트 등 한국 우위 분야 인력 유출도 상당

한국의 이공계 인력 유출은 이미 상당 부분 진행 중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추산에 따르면 2013년부터 2022년까지 해외로 떠난 이공계 인력은 총 34만 명이다. 이 중 석·박사급 엘리트 인력만 9만6000명에 달한다. 특히 미래 국가경쟁력을 좌우할 인공지능(AI) 전문 인력은 순유입국에서 순유출국으로 이미 전환했다. 스탠퍼드대 인간중심연구소(HAI)가 발표한 ‘AI 인덱스’에 따르면 한국은 10만명당 AI 인재가 지난해 0.3명 빠져나갔다. 이는 이스라엘과 인도·헝가리·터키에 이어 다섯 번째로 큰 유출 비중이다.

bt58374f5b89222300ef784904c769db4d.jpg

김경진 기자

실제 한은에 따르면 바이오·제약·의료기기(48.7%)나 정보통신(IT)·소프트웨어·통신(44.9%) 같이 선진국이 우위를 점한 분야에서 해외 이직을 고려하는 비중이 높았지만, 한국이 우위에 있는 조선·플랜트·에너지(43.5%)도 이직을 고민하는 전문가 비중이 40%를 넘겼다.

연공으로 성과 보상…2030 해외 유출 불러

이공계 인재의 한국 탈출의 원인은 복합적이다. 가장 먼저 언급되는 것은 낮은 연봉이다. 한은 조사에 따르면 해외 이직을 원하는 이유(1~3순위 복수응답)에서 국내 이공계 전문가 66.7%가 금전적 이유를 꼽았다.

bt7b1cfddf587f7f980dfee6b4fa6f76ca.jpg

김경진 기자

한은은 성과가 아닌 근무 기간에 따라 보상을 받는 구조가 문제라고 짚었다. 한은에 따르면 해외 이공계 전문가는 13년 차에 가장 많은 연봉(평균 36만6000달러)을 받았다. 하지만 국내 이공계 전문가는 19년 차에 최고 연봉(평균 12만7000달러)을 기록했다. 최고 연봉 금액 차이도 3배가량 났지만, 국내에서는 최고 연봉까지 도달하는 기간이 해외보다 6년 더 길었다. 이 때문에 20·30대 젊은 전문가의 해외 유출이 커졌다.

고용안정성·승진도 유출 이유 중 하나

비금전적 이유도 이공계 해외 유출의 핵심 원인 중 하나로 꼽혔다. 한은이 해외 이직 요인을 실증 분석해 보니, 국내 이공계 전문가의 소득만족도가 한 단계 상향 됐을 때, 해외 이직 확률은 4%포인트 감소했다. 고용안정성(-5.4%)·승진(-3.6%) 같은 근무 환경 만족도가 한 단계 올라갔을 때도 이직 확률이 유사하게 줄었다.

bte196f4c966ce6f9d225a69b9aa37cdb0.jpg

차준홍 기자

실제 해외와 비교했을 때 한국에서 만족도가 가장 떨어지는 분야는 연봉이 아니었다. 한은이 해외 체류 이공계 인력(778명)까지 포함해 설문 조사한 결과 국내와 비교해 해외 전문가의 만족도가 가장 높게 나타난 것이 연구생태계(1.64배)였다. 이어 근무여건(1.61배)·연봉(1.57배)·승진(1.49배) 순이었다.

한은은 국내에서도 성장할 수 있는 경력 트랙을 정비하고, 첨단 인프라 접근성을 높여야 한다고 지적했다. 또 해외 인력을 수용할 수 있는 유인 체계를 만들어 인재 ‘순환형’ 구조로 전환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기술창업을 지원하고 방산 등 전략기술을 개방해 이공계 인력의 보상체계도 개선해야 한다고 짚었다.

btf5d8f7214b5d3ec6ccf0212f0e583c85.jpg

차준홍 기자

정선영 한은 거시분석팀 차장은 “연구개발(R&D)비가 경제 규모 비해서는 한국이 작다고 할 수 없지만, 효율적으로 쓰이고 있느냐는 생각해볼 문제”라면서 “(해외 이직 이유로) 금전적인 부분이 높게 나오지만, 연구자들이 연구할 수 있는 환경이 없어서 비자발적으로 나가는 부분들도 크다”고 했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3,701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