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여당, 현대차·현대제철에도 ‘파업 손배소’ 취하 요청

본문

다음 달 4일 국회 본회의에서 노란봉투법(노조법 2·3조 개정안) 처리를 예고한 더불어민주당이 현대차·현대제철에 과거 파업 노동자를 상대로 제기한 손해배상 청구 소송을 취하하라고 요청한 것으로 파악됐다.

30일 정치권과 자동차·철강업계에 따르면 민주당은 최근 현대차와 현대제철에 현재 재판이 진행 중인 비정규직 하청노동자 상대 손배소를 취하할 것을 요청했다.

손배소 건은 현대차 3건(2010·2013·2023년 파업), 현대제철 1건(2021년 파업) 등 총 4건이다. 민주당은 한화오션이 2022년 파업 하청노동자를 상대로 제기한 470억원 손배소를 취하하도록 회사와 하청노조를 중재하고 있다.

민주노총 소속 전국금속노조 현대차 비정규직 지회는 사내 하청노조원을 정규직으로 전환해 달라며 2010년과 2013년 울산 3공장을 각각 점거했다. 30일 현재 2010년 건은 파업 노동자 1명을 상대로 제기한 7500만원 청구 소송이, 2013년 건은 4명을 상대로 한 4600만원의 청구 소송이 진행 중이다. 두 건은 2023년 대법원이 “손해배상액을 재산정해야 한다”며 사건을 각각 부산고법(2010년 건), 울산지법(2013년 건)에 돌려보내 파기환송심이 진행 중이다. 2023년 울산 4공장을 점거한 파업 노동자 2명을 상대로 현대차가 제기한 2억4700만원의 손해배상 청구 소송도 울산지법에서 1심이 진행 중이다.

현대제철의 경우 2021년 금속노조 노동자 180명이 당진제철소 내 통제센터를 점거하자 회사가 이들을 상대로 200억원의 손해배상 소송을 제기했다. 지난 6월 인천지법은 1심에서 200억원 중 5억9000만원의 손해배상액만을 인정했는데 노조의 항소로 2심이 진행 중이다.

현대차는 2016년까지 사내 하청직원 전원을 정규직화했다. 2010·2013년 파업 당시 노동자의 요구가 이행된 상황이어서 손배소 유지의 실익이 크지 않다는 게 민주당의 판단이다. 노란봉투법 처리가 임박한 점도 설득 근거다. 해당 법안에는 노조 활동에 따른 손해배상을 묻지 못하게 한 제3조 2항의 적용을 법 시행 전까지 소급 적용하도록 했다.

현대차·현대제철은 “손배소에 대해서는 현재 결정된 바가 없다”며 신중한 입장을 취했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4,973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