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한국 임상의사 수 OECD 꼴찌 수준인데, 국민 진료횟수는 1등
-
6회 연결
본문
한국의 임상 의사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에서 두 번째로 적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병상과 외래진료 횟수는 가장 많은 것으로 나와 대조를 이뤘다.
보건복지부는 OECD가 최근 발표한 ‘보건통계 2025’ 세부 내용을 분석한 결과를 30일 공개했다. OECD는 매년 건강 상태, 보건의료 자원 등의 수치를 발표하는데, 대부분 2023년 기준으로 집계됐다. 환자를 진료하는 임상 의사 수(한의사 포함)는 한국이 인구 1000명당 2.66명으로 집계됐다. OECD 국가 중 일본(2.65명) 다음으로 적었다. OECD 평균(3.86명)과 차이도 컸다. 이처럼 의사 수가 적다는 수치는 윤석열 정부가 추진한 의대 증원의 주요 근거로 쓰였다. 국내 의학계열(한의학 포함, 치의학 제외) 졸업자는 인구 10만 명당 7.4명으로 이스라엘, 캐나다에 이어 세 번째로 적었다. 임상 간호인력(간호사·간호조무사, 인구 1000명당 9.5명)도 OECD 평균(9.7명)보다 낮은 수준이었다.
반면에 병원 병상 수(인구 1000명당 12.6개)는 1위로 OECD 평균(4.2개)의 3배에 달한다. 국민 1인당 외래진료 횟수는 연간 18회로 OECD 국가 중에서 가장 높았다. 국내의 높은 의료 접근성을 보여주는 셈이다. 2023년 기준 한국 국민의 기대수명은 83.5년(남성 80.6년, 여성 86.4년)으로 나타났다. OECD 평균(81.1년)보다 훨씬 높은 상위권에 속했다. 기대수명이 가장 긴 스위스(84.3년)와는 0.8년의 차이를 보였다. 기대수명은 해당연도 출생아가 앞으로 살 것으로 기대되는 연수를 의미한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