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민의힘 새 대표에 반탄 장동혁
-
4회 연결
본문

반탄(탄핵 반대) 기치를 내건 장동혁(사진) 의원이 26일 국민의힘 대표로 선출됐다. 장 대표는 이날 오전 국회도서관에서 열린 대표 경선 결선에서 합산 22만302표를 얻어 21만7935표의 김문수 후보를 2367표 차로 꺾었다. 국민의힘은 대선 패배 이후 84일 만에 지도부 공백과 비상대책위원회 체제를 벗어나 새 지도부를 꾸렸다. 승부를 가른 건 당심(黨心)이었다.
장동혁 “이재명 정권 끌어내리겠다” 대여 강경투쟁 예고
장 대표는 국민의힘 지지층과 무당층을 대상으로 조사해 결과에 20%가 반영되는 국민 여론조사에서 39.8%를 기록해 김 후보(60.2%)에게 20.4%포인트 차로 밀렸다. 하지만 80% 비중인 책임당원 투표에서 김 후보(16만5189표)보다 2만212표 많은 18만5401표를 얻어 가까스로 승부를 뒤집었다.
장 대표는 선출 직후 대여 투쟁 의지를 강조했다. 그는 “우파 시민과 연대해 이재명 정권을 끌어내리는 데 모든 것을 바치겠다”며 “내년 지방선거, 2028년 총선 승리와 이재명 정권 조기 종식을 통한 정권 재탈환이 목표”라고 했다.
장 대표의 당선은 이변으로 통한다. 8·22 전당대회 초반만 해도 6·3 대선에서 국민의힘 대선후보로 나섰던 김 후보가 조직력과 정치적 체급에서 우위라는 평가였다. 하지만 전대 막바지로 갈수록 국민의힘 지지층을 대상으로 한 여론조사에서 장 대표가 상승곡선을 그렸고, 막판에는 김 후보를 제치며 역전승을 거뒀다.
장 대표가 당선 뒤 두 차례나 “당원과 새 미디어 환경이 만들어낸 승리”라고 강조했을 정도로 장 대표의 승리 배경엔 보수 유튜버와 강성 지지층의 전폭적 지지가 있었다. 윤석열 전 대통령의 정치적 재기를 뜻하는 ‘윤 어게인(Yoon Again)’ 구호를 외치며 반탄을 주장하는 유튜버 집단에 당권 주자 중 가장 먼저 손을 내민 사람은 장 대표였다. 지난달 31일 보수 유튜버 합동토론회에 제일 먼저 참석했고, 찬탄(탄핵 찬성) 진영을 “배신자”로 몰아세워 이들과 결을 맞췄다. 이에 전한길씨를 비롯해 보수 유튜버가 줄지어 장 후보 공개 지지를 선언했고, 반탄 세력의 여론이 급격히 장 대표에게 쏠렸다. 그간 이들에게 부응해 구속된 윤 전 대통령을 접견하겠다고 밝혀왔던 장 대표는 당선 뒤에도 “특별한 사정 변화가 없다면 지키겠다”고 했다. 이준한 인천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장동혁 체제 출범은 보수 유튜버와 강성 지지층이 국민의힘 주류로 올라선 상징적인 장면”이라고 분석했다.
결선 막판에 한동훈 전 대표를 비롯한 친한계가 “차악을 뽑자”며 김 후보를 지원한 건 외려 반탄 지지층의 역결집을 자극했다는 평가다. 영남 중진의원은 “‘장동혁을 뽑자고 전화에 불이 나도록 독려했다’는 주민이 많아 놀랐다”고 전했다. 전대 기간 친한계와 찬탄파를 “배신자·내부 총질자”라고 비판해 온 장 대표는 당선 첫날에도 “단일대오에 합류하지 못하고 당을 분열로 몰고 가는 이들은 결단이 필요하다”고 날을 세웠다.
여야 관계는 험로가 예상된다. 국민의힘과의 악수조차 거부하는 정청래 더불어민주당 대표에게 맞서 ‘싸우는 야당’을 앞세운 장 대표가 주요 현안마다 삐걱댈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통상 덕담을 건네던 정치 상례와 달리 박수현 민주당 수석대변인은 장 대표의 당선에 “극우의힘을 넘어 내란의힘”이라는 논평을 냈다.
▶강성 당원과 유튜버의 전폭적 지지를 받고 있고 ▶당원 중심 정당을 강조한다는 점에서 “여야 대표의 행보가 닮았다”(국민의힘 초선의원)는 평가도 있다. 이현우 서강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여야 대표가 갈등을 조정하기보다는 증폭시키는 방향으로 극렬하게 충돌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댓글목록 0